익생원인과 증상
성대(聲帶)에 이상이 생겨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목이 가라앉은 상태이다. 즉 목소리가 쉬어 듣는 사람이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소리가 나오는 경우이다. 성대(목청)는 후두(喉頭)의 중앙에 있는 소리를 내는 기관으로, 좌우 한 쌍이며 점막의 주름으로 되어 있다. 숨을 쉴 때마다 열려 공기가 잘 유통하도록 하며, 소리를 낼 때에는 좌우의 목청이 접근하여 좁아져 허파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의하여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 목청이 짧고 긴장이 심하면 음성이 높고, 긴장이 약하면 음성이 낮다. 가볍게 목이 쉰 것은 하루나 이틀 또는 며칠 지나면 낫지만, 심한 경우에는 치료를 해야 한다.
·실음불어(失音不語) : 목이 쉬거나 소리가 나오지 않아 말을 하지 못하는 증상.
·성시(聲嘶) : 창병·후두 등의 병 때문에 목소리가 쉬는 증세. 다만, 동의보감에 성시는 울대가 상한 것이지 인두병은 아니며, 큰 소리를 지르거나 노래를 지나치게 부르거나 오랫동안 기침을 할 때 생긴다 하였다.

계통 |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목이 쉬거나 말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것. 폐경(肺經)의 병임. 실증(實證)은 갑작스런 병으로 사기(邪氣)가 막혀 기역(氣逆)이 되어 생김. 허증(虛證)은 오랜 병으로 진액과 혈이 말라서 발생함. 후음(喉瘖)과 설음(舌瘖)으로 구별됨. 후음은 목의 이상, 즉 옹종(癰腫)의 미란으로 인두가 손상되어 일어남. 설음은 혀의 이상, 즉 설축(舌縮)과 구금불개(口噤不開)로 일어남. 또 살진 사람은 담습(痰濕)이 막아 기도(氣道)가 통하지 않아서 발생함. |
질병처방 |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
가자산(訶子散)[1] | |
가자청음탕(訶子淸音湯) | |
길경탕(桔梗湯)[2] | |
밀지전(蜜脂煎) | |
발성산(發聲散)[1] | |
옥분환(玉粉丸)[1] | |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 | |
통애산(通隘散) | |
행인전(杏仁煎) | |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