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학(子瘧) / 부인(婦人)

 익생양술에서 "학질(瘧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자학(子瘧)"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법정 전염병이며, 말라리아라고도 한다. 열대·아열대 지방에 많은 학질모기가 매개하는 말라리아 원충이 혈구에 기생해서 생기는 감염증이다. 주로 무덥고 습한 여름과 초가을에 풀과 숲이 무성하고 습한 지대에서 잘 생긴다. 잠복기는 보통 1~3주일이다. 오한 전율과 발열이 엇갈리면서 주기적으로 발작하는 특징을 보인다. 원충의 종류에 따라 발열 주기가 다르다. 열로 인한 적혈구의 파괴로 빈혈 및 황달을 일으키며 간비종(肝脾腫)이 나타난다.
·노학(勞瘧) : 만성으로 이행되기 전의 오래된 학질로서 늘 가벼운 오한과 신열이 따르고 몸이 나른하다. 조금만 피곤해도 이내 발작하며 기허로 땀이 많이 나고 입맛이 없다. 기학(氣瘧)이라고도 한다.
자학(子瘧)
계통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임신중 학질에 걸린 것. 기혈이 허약해서 일어남. 한열(寒熱)이 오가며 부들부들 떠는데, 타태(墮胎)되기 쉬움.
질병처방 구사탕(驅邪湯)[2]
성비음자(醒脾飮子)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