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內障) / 눈(眼)

 동의보감에서만 "내장(內障)"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내장(內障)
계통 눈(眼)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목내장(目內障). 안구의 내부 질환. 칠정(七情)으로 인한 간기능장애, 간신(肝腎)의 정혈(精血) 부족, 기혈 부족으로 생김. 또 음(陰)이 허하여 화(火)가 왕성하거나, 풍열(風熱)과 습담(濕痰)이 눈에 몰리거나, 외상으로도 생김. 황인, 정주, 정막, 망막, 목계(目系) 등에 생김. 겉으로는 아무런 소견이 없으나 간혹 동공의 크기, 색, 형태에 변화가 있고, 눈이 뿌옇게 보이고, 안화(眼花)로 눈앞이 어른거리며, 야맹증이 있거나, 심하면 갑자기 눈이 보이지 않고, 또 간신음이나 기혈의 허증(虛證) 증상이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허증에 속함.
질병처방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감국(甘菊)[2]
당귀탕(當歸湯)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밀몽화산(密蒙花散)[1]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보간산(保肝散)
보간산(補肝散)[1]
보신환(補腎丸)[2]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야명사(夜明砂)[1]
양간원(羊肝元)
양간환(養肝丸)
여선옹방(呂仙翁方)
오담고(五膽膏)
오퇴산(五退散)[1]
창출(蒼朮)[5]
추예환(墜翳丸)
충화양위탕(沖和養胃湯)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