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咳嗽) / 호흡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해수(咳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노수(勞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담수(痰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담수(膽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비수(脾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사수(邪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기해수(上氣咳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한해수(傷寒咳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습수(濕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신수(腎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음수(飮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주담수(酒痰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주수(酒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천행해수(天行咳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폐허구천(肺虛久喘)"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폐허해수(肺虛咳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한수(寒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해수(咳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화수(火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잘 낫지 않는 기침을 멎게 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해수와 기침은 같은 뜻으로 쓰이며, 해소는 해수가 변한 말이다. 또한 기침을 그치게 하는 것을 진해(鎭咳)라 한다. 원래 기침은 기도에 들어간 이물과 기도에 있는 분비물을 밖으로 배출하려는 생체의 방어 반사 작용으로서 기도에 가해진 자극이 기침 중추에 전해져 일어난다. 아울러 기침은 세균·바이러스의 감염으로도 생기고, 먼지·연기·가스 등의 자극성 물질이 기관지 점막을 자극하여 생기기도 한다. 특히 감기·기관지 질환·폐렴 등의 호흡기병에 걸렸을 때 기침이 심하게 나온다. 원래 해수라 할 때 가래는 나오지 않고 기침 소리만 나는 것을 해, 기침 소리는 나지 않으면서 가래만 나오는 것을 수, 기침 소리와 가래가 다 있는 것을 해수라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해와 수를 구별하지 않고 해수로 쓴다.
·습성기침 : 담, 즉 가래가 나오는 기침을 말한다. 습소라고도 한다. 폐결핵·폐렴·폐매독·폐괴저·폐디스토마·폐암·중증천식·기관지확장증·인후염·기관지염 등의 경우이다.
·건성기침 : 가래가 나오지 않는 기침을 말한다. 건해라고도 한다. 백일해와 같은 해수(건폐성해수), 경해(성대가 마비된 기침), 반사성(삼차 신경의 자극에 의한 기침) 등의 경우이다.
·구수(久嗽) : 기침이 나오기 시작하면 오랫동안 그치지 않는 병증으로, 폐나 기관지의 만성 질환에서 나타난다.
노수(勞嗽)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노해(勞咳), 허로해수(虛勞咳嗽), 화울수(火鬱嗽). (1) 허로로 폐가 손상되어 성대가 매말라서 나는 기침. 권태감, 조열(潮熱), 수족심열(手足心熱) 등 허로 증상이 있음. 또한 가래가 맑고, 호흡이 촉박하여 헐떡임. (2) 폐로해수(肺勞咳嗽). 노채(勞瘵)를 볼 것.
질병처방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겁로산(劫勞散)
대아교원(大阿膠元)
대영수탕(大寧嗽湯)
보폐탕(補肺湯)
보화탕(保和湯)
영수고(寧嗽膏)
온금산(溫金散)
윤폐환(潤肺丸)[2]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1]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지모탕(知母湯)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8]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2]
담수(痰嗽)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담음해수(痰飮咳嗽). 위(胃)에 있는 습담(濕痰)이 폐(肺)로 올라와 생김. 몸을 움직이면 가래 끓는 소리가 나고, 가래를 뱉으면 기침이 멎음. 이른 아침이나 식후에 심함. 심번(心煩)하고, 한열(寒熱)이 오가고, 얼굴이 붓고, 맥은 부(浮)·활(滑)함.
질병처방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2]
과루실(瓜蔞實)[2]
귤감산(橘甘散)
남칠전원(藍漆煎元)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반과환(半瓜丸)
반하(半夏)[6]
백원자(白圓子)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삼성단(三聖丹)
선감리환(先坎離丸)
성성산(惺惺散)
안폐산(安肺散)
옥지원(玉芝元)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윤하환(潤下丸)
이(梨)[7]
인삼산(人蔘散)[3]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인포의(人胞衣)
적유산(滴油散)
징청음(澄淸飮)
청폐탕(淸肺湯)[2]
후감리환(後坎離丸)
담수(膽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기침할 때 담즙을 구토하는 것. 간해(肝咳)가 멎지 않으면 담이 이를 받아 기침이 남. 담(痰)이 많으며, 기침이 나면 누워 있지 못할 정도로 심함.
질병처방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5]
비수(脾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비해(脾咳). 비경해수(脾經咳嗽). 비(脾)의 기능장애로 오는 기침. 음식부절(飮食不節)로 생긴 비위(脾胃)의 열이 폐에 영향을 주거나, 비가 폐를 자양하지 못해 생김. 음식 생각이 없고, 혹은 오심(惡心)이 있음.
참고 소문해론(素問咳論)
질병처방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3]
사수(邪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노수(勞嗽). 노해(勞咳). 화울수(火鬱嗽). 허로해수(虛勞咳嗽). 폐로(肺勞), 노권(勞倦) 등으로 나오는 해수. 권태감, 조열(潮熱), 오심, 번열(煩熱) 등 허로 증상에 가래가 많고 기침을 함.
질병처방 비급오수원(備急五嗽元)
상기해수(上氣咳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폐기(肺氣)가 거슬러 올라와 호흡이 촉박하고 기침이 나는 것.
질병처방 반하(半夏)[6]
상한해수(傷寒咳嗽)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한 때 나는 기침. 태양(太陽)·양명(陽明) 합병이면 신열(身熱), 복통, 자리(自利) 등이 따름. 양명·소양(少陽) 합병이면 구토, 복만(腹滿)이 따름. 사기(邪氣)가 반표(半表)에 있고 속으로 들어가려 하면 한열왕래, 흉협창만 등이 있음. 수(水)와 표사(表邪)가 서로 합하면 헛구역질, 발열, 심계(心悸) 등이 있음. 속의 벽(癖)이 수(水)와 합하면 신량(身凉), 협하인통(脇下引痛) 등이 있음. 소음발열(少陰發熱)이면 두통이 따름. 음한내결(陰寒內結)이면 자리복통(自利腹痛)이 있음. 풍한(風寒)을 외감(外感)하면 발열, 두통, 콧물이 있음.
질병처방 삼소음(蔘蘇飮)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계통 성음(聲音)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상한 때 기침으로 목이 쉰 것. 상한해수(傷寒咳嗽)를 볼 것.
질병처방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습수(濕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습해(濕咳). 상습해수(傷濕咳嗽). 습사(濕邪)가 응체(凝滯)해 일어나는 기침. 몸이 더운데 물에 들어가거나, 비에 젖거나, 목욕후에 일어남. 기침에 담이 많고, 관절이 쑤시고, 몸이 무겁고, 사지가 침중(沈重)하고, 땀이 나고, 얼굴과 손발이 붓고, 소변이 잘 통하지 않고, 맥은 세(細)·완(緩)함.
참고 유문사친(儒門事親)
질병처방 백출탕(白朮湯)[2]
백출환(白朮丸)
신수(腎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신해(腎咳). 신경해수(腎經咳嗽). 신의 기능장애로 오는 기침. 신수부족(腎水不足)으로 위로 심화(心火)를 다스리지 못해 화사(火邪)가 폐를 범하거나, 명문화쇠(命門火衰)로 기(氣)가 수(水)를 화(化)하지 못해 수음(水飮)이 폐를 누르거나, 수음과 이열(裏熱)이 합해서 일어나기도 함. 기침할 때 허리와 등이 켕기면서 아프고, 심하면 반드시 구역이 따르며, 눈물과 콧물이 나옴. 몇 달을 두고 낫지 않을 수도 있음.
질병처방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6]
음수(飮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수음(水飮)이 가슴에 머물러 생긴 해수. 기침에 담(痰)이 많은데, 담이 흰색이거나 거품이 있음. 오래되면 양(陽)을 손상하여 다시 신양(腎陽)의 부족을 일으켜 증한(憎寒), 사지랭, 수종 등이 있고 맥은 침(沈)·세(細)함. 겨드랑이 밑에 담음(痰飮)이 머물면 기침할 때 협통(脇痛)이 따름.
질병처방 비급오수원(備急五嗽元)
주담수(酒痰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해수(咳嗽)의 하나. 대개 술은 열독(熱毒)이 심하고 간혹 냉열(冷熱)을 겸해 마셔 오래되면 위완(胃脘)을 상하여 그 기가 모여 습담(濕痰)이 되어 기침이 남. 가래나 때로 혈담(血痰)을 뱉으며, 천급(喘急)하고, 옆구리가 아파서 편히 눕지 못함.
질병처방 과루행련환(瓜蔞杏連丸)
주수(酒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주상(酒傷)으로 생긴 기침. 음주 과도로 오랫동안 위완(胃脘)을 조금씩 상해 그 기가 모여 흐르지 않고 습담(濕痰)이 되어 발생함. 담(痰)이 많고, 타혈(唾血)이 있고, 천급(喘急)하고, 옆구리가 아픔.
질병처방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봉강환(蜂薑丸)
천행해수(天行咳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시행수(時行嗽). 시행해수(時行咳嗽). 유행성감기로 생긴 기침. 오한 발열이 있고, 담(痰)이 성하고, 코가 메며, 목이 잠기고, 기침함.
질병처방 인삼음자(人蔘飮子)
일복산(一服散)
폐허구천(肺虛久喘)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폐허천급(肺虛喘急)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
질병처방 정천탕(定喘湯)[1]
폐허해수(肺虛咳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폐음(肺陰) 부족으로 일어난 해수. 기침이 나고 담이 적은데 간혹 담에 피가 섞임. 몸이 여위고, 자한(自汗)이나 도한(盜汗)이 나고, 심번(心煩)으로 잠을 못 자고, 오후에 조열(潮熱)이 나고, 얼굴과 뺨이 붉음. 폐기허(肺氣虛)면 기천(氣喘)이 나고, 기침 소리가 낮고 미약하며, 땀이 많고, 맥은 연(軟)하며 무력(無力)함.
질병처방 오미자(五味子)[6]
한수(寒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냉수(冷嗽). 한해(寒咳). 한사(寒邪)를 외감하여 생긴 해수(咳嗽). 담(痰)이 희고 거품이 섞이며, 얼굴이 허옇고, 맥은 긴(緊)하거나 현세(弦細)함. 겨울에는 오한 발열이 나고, 땀은 없고, 코가 막힘. 몸이 차면 기침이 더함.
질병처방 강계환(薑桂丸)
구보음(九寶飮)
귤소산(橘蘇散)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2]
온폐탕(溫肺湯)[2]
이강원(飴薑元)
인삼관화고(人蔘款花膏)
인삼윤폐탕(人蔘潤肺湯)
자소음자(紫蘇飮子)
팔미관동화산(八味款冬花散)
행소탕(杏蘇湯)
행자탕(杏子湯)
화개산(華蓋散)
해수(咳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기침. 풍한서습(風寒暑濕)이 피모로 들어오면 피모는 폐와 합하므로 폐에 먼저 들어가고 차례로 오장에 전함. 칠정기포(七精飢飽)로 내상(內傷)하면 아래에서 음(陰)이 손상되므로 오장의 화(火)가 올라와 폐를 다그쳐서 기침이 남. 외감으로 생기면 발병이 비교적 빠르고 경과 과정이 짧으며 두통, 신통(身痛), 오한, 발열 등 외감 표증 증상이 겸해서 나타남. 내상이면 발병이 완만하고 경과도 길며 오한, 조열(潮熱), 담다대혈(痰多帶血), 기단(氣短), 후건(喉乾) 등과 해당 장부의 기능장애 증상이 함께 나타남.
질병처방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2]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가자산(訶子散)[1]
계명환(鷄鳴丸)[1]
귤피(橘皮)[6]
귤피(橘皮)[7]
길경탕(桔梗湯)[4]
마두령(馬兜鈴)[2]
상백피(桑白皮)[3]
생강(生薑)[10]
월비탕(越婢湯)[1]
이모산(二母散)[1]
이어육(鯉魚肉)
인삼(人蔘)[7]
인삼호도탕(人蔘胡桃湯)
자소자(紫蘇子)
자완용탕(紫菀茸湯)
조협(皂莢)[5]
청금음(淸金飮)
행삼산(杏蔘散)[2]
행인(杏仁)[9]
화수(火嗽)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화해(火咳). 해수(咳嗽)의 일종. 화사(火邪)로 폐(肺)·신(腎) 2경이 휴손(虧損)되어 발생함. 폐경에 적열(積熱)이 있으면 맥이 홍삭(洪數)하고, 번갈(煩渴)하여 마실 것을 찾고, 목에 담(痰)이 끓는 소리는 나지만 담은 적음. 상한(傷寒)으로 인하여 생기면 조열(潮熱)이 나고, 담이 성하고, 흉협(胸脇)이 아픔. 화울(火鬱)로 폐가 창만(脹滿)하면 호흡이 급하고, 목이 그렁거리며 담이 끓고, 혹은 대변비결(大便秘結)이 있음.
참고 잡병원류서촉(雜病源流犀燭)
질병처방 시호기길탕(柴胡枳桔湯)
억심청폐환(抑心淸肺丸)
인삼청진환(人蔘淸鎭丸)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청폐음(淸肺飮)
패모산(貝母散)[1]
해청환(海靑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