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感氣) / 호흡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감기(感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감모(感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사시상한(四時傷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풍(傷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풍면종(傷風面腫)"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양성격음(陽盛格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외감두통(外感頭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중한(中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하초한(下焦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한습(寒濕)"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바이러스 또는 세균의 감염에 의해 생기는 상기도(上氣道)의 염증성 질환으로 호흡기 계통의 가벼운 병이다. 사람에 따라 그 증상이 다르다. 추운 계절, 특히 계절이 바뀔 때 많이 생기지만 몸의 저항력이 낮으면 더울 때에도 생긴다. 한방에서는 풍사(風邪)가 흔히 겨울에는 한사(寒邪), 여름에는 열사(熱邪)와 함께 몸에 침입하여 생긴다고 하였다. 초기에는 재채기를 자주 하며, 콧물이 나오거나 목이 붓거나 기침을 하는 등의 증상을 보이고, 열이 나면서 오슬오슬 춥고 머리가 아프다. 감모(感冒), 고뿔이라고도 한다. 일반 치료 원칙은 땀을 내어 몸의 사기(邪氣)와 한기(寒氣)를 몰아내는 것이다.
감모(感冒)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감기. 외감병(外感病)의 하나. 풍한사(風寒邪)를 감수하여 발생함. 오한, 발열, 두통, 재채기, 코막힘, 콧물, 오풍(惡風), 근골동통(筋骨疼痛), 해수(咳嗽), 인통(咽痛), 무한(無汗). 간혹 구역, 오심 등도 있음. 맥은 대개 인영맥(人迎脈)이 부긴(浮緊)·현삭(弦數)함.
참고 병명휘해(病名彙解)
질병처방 교가산(交加散)[1]
사시상한(四時傷寒)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풍한감모(風寒感冒)와 같음. 풍한사(風寒邪)를 외감(外感)해 일어남. 오한 발열하고, 두통이 나고, 팔다리가 쑤시고, 코가 메고 재채기가 나며, 멀건 콧물이 흐르고, 설태는 희고, 맥은 부(浮)·긴(緊)함. 또 목이 붓고 아프거나, 가래가 성해 숨이 차기도 함.
질병처방 강활충화탕(羌活冲和湯)
방풍충화탕(防風冲和湯)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1]
옥설탕(沃雪湯)[2]
총백산(蔥白散)
충화산(沖和散)
향소산(香蘇散)[1]
상풍(傷風)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태양중풍(太陽中風). 기후가 시원했다가 따뜻했다가 하는 데에 풍사(風邪)를 흡입하여 폐경(肺經)에 몰려서 생김. 비색(鼻塞), 성중(聲重), 비체(鼻涕), 두훈(頭暈), 기침, 자한(自汗), 심하면 두통, 신열(身熱), 담옹기천(痰壅氣喘), 인건(咽乾) 등이 있으며 맥은 부완(浮緩)함. (2) 감기.
질병처방 웅황고(雄黃膏)[2]
상풍면종(傷風面腫)
계통 얼굴(面)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상풍면목부종(傷風面目浮腫) 참조.
질병처방 총백(蔥白)[8]
행인(杏仁)[4]
양성격음(陽盛格陰)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양성음격(陽盛陰格). 열이 아주 성할 때 오히려 한증(寒證) 증상을 나타내는 이상증상. 병의 본질은 열증(熱證)인데 사기가 깊이 잠복해 양기(陽氣)가 밖으로 나오지 못해 한증 증상이 나타남. 팔다리가 싸늘하고, 맥이 침복(伏)하며, 성질이 찬 약을 쓰면 받지 않는 가한(假寒) 증상이 있으나 심흉(心胸)에 번열(煩熱)이 나고, 복부를 누르면 작열감이 있고, 몸이 찬데 이불을 덮으려 하지 않는 등 열이 왕성한 증상이 한편으로 나타남.
참고 의종금감(醫宗金鑑)
질병처방 유음자(油飮子)
외감두통(外感頭痛)
계통 머리(頭)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외사(外邪)를 감수해 생긴 두통. 발병이 비교적 빠르고, 언제나 끊임없이 아프며, 손등에 열이 있고, 코가 메고, 오한과 발열이 겸해 나타남. 감기두통, 풍한두통(風寒頭痛), 풍열두통(風熱頭痛), 풍습두통(風濕頭痛), 태양두통(太陽頭痛), 양명두통(陽明頭痛), 소양두통(少陽頭痛), 궐음두통(厥陰頭痛) 등이 이에 속함.
참고 경악전서(景岳全書)
질병처방 궁신탕(芎辛湯)
중한(中寒)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급히 한사(寒邪)를 받아 일어나는 병증. 평소에 양기(陽氣)가 부족하고 주리(腠理)가 단단치 못해 한사가 직접 삼음경(三陰經)으로 들어가서 발생함. 신체가 강직(强直)되고, 구금(口禁)으로 말을 못하며, 손발이 떨리고, 오싹오싹 추우며, 갑자기 어지러워 졸도하고, 땀은 나지 않으며, 통설(洞泄)이 멎지 않고, 열이나 구갈(口渴)은 없으며, 대변이 굳고 소변은 청장(淸長)하며, 맥은 침(沈). (2) 중초(中焦)가 허한 것. 양기(陽氣)가 부족한 데에 비위(脾胃) 기능이 쇠퇴해서 발생함. 복통이 나는데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줄며, 추위를 타고, 사지가 싸늘하며, 입맛이 없고 메스꺼워 음식을 적게 먹으며, 대변이 무름.
질병처방 강부탕(薑附湯)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1]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2]
총울법(蔥熨法)
출부탕(朮附湯)[2]
회양탕(回陽湯)
하초한(下焦寒)
계통 삼초(三焦)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하초의 허한증(虛寒症). 명문화(命門火)가 쇠약해지고 신양(腎陽)이 부족하여 일어남. 음식을 적게 먹고, 변당(便溏)이 있고, 정액이 묽고, 하반신이 아주 차고, 다리와 무릎에 부종이 있음.
질병처방 청귤(靑橘)
한습(寒濕)
계통 습(濕)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중습(中濕)과 감한(感寒)을 겸한 것. 혈허(血虛)한 사람에게 많음. 몸이 쑤시고 열이 나며, 얼굴이 누렇게 되며 천식하고, 머리가 아프고, 코가 막혀 답답하고 괴로우며, 맥이 대(大)함. 또한 소변이 청백하며 무의식적으로 나오고, 대변이 설리(泄利)하고, 관절이 잘 돌아가지 않으며 철통(徹痛)하기도 함.
질병처방 가제제습탕(加劑除濕湯)
삼습탕(渗濕湯)[1]
삼습탕(渗濕湯)[2]
생부제습탕(生附除濕湯)
생부탕(生附湯)[2]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치습중화탕(治濕中和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