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短氣) / 기(氣)

 익생양술에서 "호흡곤란(呼吸困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단기(短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호흡을 할 때 폐 안에서 이뤄지는 가스 교환에 장애가 생겨 일어나는 증상이다. 쉽게 말하면 숨을 쉴 때 괴로움을 느끼는 경우이다. 기천(氣喘)이라고도 한다. 이물질이 차 있거나 천식·폐렴인 때에 일어난다. 호흡이란 생리적으로 외부의 공기 중에서 산소를 체내에 빨아들여 인체의 세포 조직 안에서 산화 작용(酸化作用)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에너지를 발생하여 신선한 혈액을 증산하며 또한 여기서 생기는 일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여 생명을 유지케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 장애가 오면 정상적인 호흡 밸런스가 맞지 않기 때문에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이 뒤따르게 된다. 얼굴이 하얗게 되면 일단 호흡곤란으로 보는 것이 좋다. 만성은 그리 강한 압박을 받지 않으나, 급성일 경우는 위험이 따른다.
·견식(肩息) : 매우 숨이 차서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썩거리면서 힘들게 숨을 쉬는 상태를 말한다. 천식 발작·산소부족증 때 흔히 볼 수 있다.
·단기(短氣) : 숨결이 빠르면서 이어지지 못하고 숨이 찬 증세이다. 숨찬 증상은 천증과 비슷하나, 가래 끓는 소리와 어깨를 들먹이는 증상은 없으므로 천증과는 구별된다.
·비선(鼻扇) : 호흡 장애가 있어 숨을 들이쉴 때는 콧구멍을 넓히고 내쉴 때는 오므리면서 하게 되는 호흡이다. 비익호흡(鼻翼呼吸)이라고도 한다.
·수천(水喘) : 천증의 하나. 수음(水飮)이 폐에 몰려 생긴 숨찬 증상이다. 흔히 숨이 차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한데 목에서 소리가 나면서 호흡곤란과 심계항진(心悸亢進)이 오는 병증이다. 얼굴과 온몸이 붓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다. 신장병이나 심장병에 걸리면 일어나기 쉽다.
·유음(溜飮) : 명치에 수음이 정체되어 호흡곤란과 함께 신물이 나오는 병증이다.
·지음(支飮) : 흉막 부위의 수음 정체로 기침과 가래가 많이 나고 호흡곤란 때문에 모로 눕기가 어려운 병증이다.
·호흡촉박(呼吸促迫) : 호흡곤란과 빈삭(頻數 : 횟수가 매우 잦음)이 합친 증세이다. 호흡이 빨라지고 숨쉬기가 어렵다.
단기(短氣)
계통 기(氣)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기단(氣短). 기소(氣少). 호흡을 자주 하면서 이어지지 않음. 즉 호흡촉박. 천증(喘證)과 비슷하나 담명이나 호흡에 어깨를 들먹이는 증상이 없음. 허증(虛證)은 오랜 병으로 진원(眞元)이 모상(耗傷)되어 생기고 실증(實證)은 지음(支飮), 어조(瘀阻), 기체(氣滯)로 생김. 허증은 병후, 산후, 옹저가 터진 후와 기(氣)가 약한 자에게 많음. 몸이 여위고, 노곤하며, 어지럽고, 움직이기 싫어함. 실증은 갑자기 숨이 차고, 숨소리가 거칠며, 심흉(心胸)이 그득하고, 배가 팽팽하게 불러오고, 담음(痰飮)으로 사지의 마디마디가 아프고, 맥이 침(沈)함.
참고 의종필독(醫宗必讀)
질병처방 사군자탕(四君子湯)
영계출감탕(苓桂朮甘湯)[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