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골저(附骨疽) / 옹저(癰疽)

 익생양술에서 "골수염(骨髓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부골저(附骨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세균감염으로 인한 골수의 염증. 대개는 골수에 있는 적색 혹은 황색의 연한 조직체에 화농균이 침입하여 생긴다. 골수는 뼛속을 채우고 있는 연한 조직으로서 세포와 혈관이 풍부한데, 원래는 적색이고 적혈구·백혈구·혈소판을 많이 만들지만, 연령과 함께 지방으로 대체되면서 황색으로 변하고 기능을 잃게 된다. 골수염은 긴 뼈의 중간부에 걸리기 쉽고 척추골이나 늑골 등 작은 뼈에 발생하기 쉬우며, 결핵균에 의한 것은 카리에스라 부른다. 염증을 일으키면 갑자기 한기와 고열이 나며, 염증이 진행됨에 따라 침범된 부분의 뼈에 통증이 나타나고 쑤시기 시작하는데 통증이 매우 심하다. 곪거나 부스럼이 나서 부어오르는 종창(腫脹) 등이 일어나고, 때로는 치명적인 경우도 생긴다.
부골저(附骨疽)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부골(附骨). 다골저(多骨疽). 후골저(朽骨疽). 고경저(股脛疽). 어린이의 수족 근골부에 고름집이 생긴 것. 허약한 사람이 바람이 불고 추운 바깥에서 자거나, 목욕을 한 후 시원한 틈을 타고 한습(寒濕)이 침습하거나, 성교한 후 이불을 얇게 덮어 한사(寒邪)가 속으로 들어가서 생김. 허벅지 바깥쪽 즉 족삼양경(足三陽經)에 한열왕래(寒熱往來)를 처음 느끼고 감기 비슷하다가 근골(筋骨)이 쑤시고 아프며 붉어지거나 열이 나지는 않음. 심하면 통증이 송곳으로 찌르는 것 같고, 근골의 굴신(屈伸)이 안됨. 오래되면 한(寒)이 막혀 열(熱)이 되고 살이 썩어 곪는데 밖에서 보면 붓되 꼭지가 없고 피부색에 변화가 없다가 점차 한 점이 번쩍이면 안에서는 이미 곪은 것임. 바늘로 찔러 걸쭉하고 흰 고름이 나오면 순증(順證)이고, 흰 진물이나 콩물 같은 게 나오면 험증(險證)임. 만약 허벅지 정면에 생기면 두목혼현(頭目昏眩), 구토불식, 흉격불리, 심번열민(心煩熱悶) 등이 있음. 허벅지 안쪽에 생기면 골절흔통(骨節焮痛), 사지구급(四肢拘急), 자한단기(自汗短氣), 수족부종 등이 있음.
질병처방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구보환(狗寶丸)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누로음자(漏蘆飮子)
삼생산(三生散)
섬여고(蟾蜍膏)
적출원(赤朮元)
청초창백탕(靑草蒼柏湯)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2]
투농산(透膿散)
평기산(平肌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