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풍(中風) / 신경계 계통

 익생양술에서 "중풍(中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중풍(中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거나 갑자기 구안와사·반신불수·언어장애 등 일련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증이다. 반신 또는 전신에 불수(不隨)가 오거나 팔·다리 등 몸의 일부에 마비가 오는 병으로, 흔희 뇌일혈(뇌출혈)로 인하여 일어난다. 중풍은 뇌의 급격한 순환장애로 인하여 나타나는 뇌혈관 질환을 말하며, 뇌의 병변부에 따라 언어장애·지각장애·운동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편마비(偏痲痺 : 반신불수, 주로 한쪽 다리의 마비)를 주로 하는 운동장애는 특히 발병 후 일상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된다. 한의학적으로는 환자가 평소에 기혈(氣血)이 허하고 간(肝)·신(腎)·심(心)의 세 장부가 음양실조(陰陽失調)된 상태에서 감정적인 손상, 지나친 음주, 과식, 잘못된 섭생, 과로 등의 원인이 가세하면 기혈의 운행이 장애를 받아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중풍은 뇌동맥에 생긴 경화증(硬化症)이나 고혈압으로 인하여 혈액순환장애가 생겼을 때 일어나는 병으로 사람이 앓는 병 중에서 가장 위험한 병의 하나이다. 뇌혈관이 터져 출혈되는 뇌일혈(腦溢血)과 더불어 뇌혈관이 막혀서 오는 뇌경색(腦硬塞)도 주원인이며, 뇌혈전증·뇌빈혈·지주막하출혈 등에 의해서도 오는데, 모두 뇌의 일부가 손상되어 신체의 장애를 유발한다.
중풍(中風)
계통 한(汗)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졸중(卒中). 기허혈쇠(氣虛血衰)로 영위(營衛)가 조화되지 않고 주리(腠理)가 조밀하지 못해 풍사(風邪)가 깊이 들어가서 일어남. 즉 외감상풍(外感傷風)과 비슷함. 대개 갑자기 혼도(昏倒)하여 인사불성, 담연옹성(痰涎壅盛), 언어장애, 반신불수 등이 따르며 육맥(六脈)이 침복(沈伏)함.
질병처방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4]
가미청주백원자(加味靑州白元子)
갈사백원자(蝎麝白元子)
감국(甘菊)[3]
거풍단(去風丹)
거풍도담탕(祛風導痰湯)
견정산(牽正散)
균기산(均氣散)
대진교탕(大秦芄湯)
만금탕(萬金湯)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방기(防己)[3]
방풍(防風)[5]
백출(白朮)[5]
불환금단(不換金丹)
비마자(蓖麻子)[4]
삼생음(三生飮)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석회(石灰)[3]
선령비(仙靈脾)[1]
성부산(星附散)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속명자산(續命煮散)
수평(水萍)
안방(雁肪)
야합분(野鴿糞)
어풍단(禦風丹)
오계(烏鷄)[1]
오룡단(烏龍丹)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웅지(熊脂)[3]
이삼단(二蔘丹)
인삼순기산(人蔘順氣散)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정설산(正舌散)
진교승마탕(秦艽升麻湯)
척담탕(滌痰湯)
천태산(天臺散)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2]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총백(蔥白)[14]
침향반하탕(沈香半夏湯)
통기구풍탕(通氣驅風湯)
투빙단(透氷丹)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2]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해어환(解語丸)
환골단(換骨丹)
활명금단(活命金丹)
희렴(稀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