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불통(月經不通) / 부인과 계통
익생처방관련 약초
경폐(經閉)
노심월폐(勞心月閉)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월경불통(月經不通)
월폐(月閉)
혈폐(血閉)
익생원인과 증상
월경이 있어야 할 때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이다. 경폐(經閉)·무월경(無月經)·혈고(血枯)·혈폐(血閉)라고도 한다. 임신에 의한 것과 병적인 것이 있다. 즉 임신 중이나 젖을 먹일 때의 생리적 무월경과 난소의 기능 장애, 대뇌피질 장애, 뇌하수체 이상, 자궁내막 파괴, 질 폐색 등의 병적인 원인으로 일어난다. 특히 18세가 지나서도 월경이 없거나 월경을 하던 여자가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것은 병적이다.
·혈고(血枯) : 월경할 나이에 있는 여자의 월경이 그치는 일이다. 혈고경폐·혈허경폐(血虛經閉)라고도 한다. 해산 때와 해산 후에 출혈이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
경폐(經閉)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폐경(閉經), 불월(不月), 경정(經停). 14세 이상의 여성이 월경이 없거나, 임신이 아닌데 3개월 이상 월경이 중단된 것. 충·임맥의 허약, 어혈(瘀血), 기체(氣滯), 습담(濕痰) 등으로 경혈이 막혀 생김. 2개월에 1회면 병월(倂月), 3개월 1회면 거경(居經) 또는 계경(季經), 1년 1회면 피경(避經), 일생 무월경이고 때가 되면 몸만 나른하고 임신 가능인 경우를 암경(暗經)이라 하며, 이들은 병증은 아님. 혈휴경폐(血虧經閉), 혈고경폐(血枯經閉), 기체혈어경폐(氣滯血瘀經閉), 한체응체경폐(寒滯凝滯經閉) 등으로 분류됨. |
질병처방 |
무극환(無極丸)
|
노심월폐(勞心月閉)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사려 과도로 심(心)이 손상되어 심기(心氣)가 아래로 내려가지 못해 월경이 나오지 못하는 것. |
질병처방 |
백자인환(柏子仁丸)
|
|
택란탕(澤蘭湯)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월경불통(月經不通)
월폐(月閉)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경폐(經閉). 월경불행(月經不行). 과로하여 기혈을 손상하거나, 본래 기가 허약하거나, 혹은 풍랭(風冷)이 포중(胞中)에 들어가 충임맥(衝任脈)을 손상하거나, 간경(肝經)에 풍열(風熱)이 있거나, 신수부족(腎水不足)으로 혈해(血海)가 부족해져 생김. 생리적 경폐 외에 18세 후에도 월경이 없거나, 월경이 있다가 6개월 이상 없는 것을 말함. |
질병처방 |
단대황고(單大黃膏)
|
|
도경환(導經丸)
|
|
만통환(萬痛丸)
|
|
치월폐일방(治月閉一方)
|
|
혈극고(血極膏)
|
혈폐(血閉)
계통 |
포(胞)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월경폐지(月經閉止). 충임맥(衝任脈)에 병이 있거나 심(心)·간(肝)·비(脾) 3경에 울(鬱)이 있어 그 기가 신(腎)에 들어가 경수(經水)로 변화하지 못하여 생김. 월경이 있어야 할 때에 없거나, 생리적 경폐(經閉) 외에 18세가 지나도 월경이 없음. 혈해허한(血海虛寒)으로 생기면 소복동통(小腹疼痛), 조열(潮熱), 두목혼침(頭目昏沈), 지체노권, 오심번열(五心煩熱), 정충(怔忡), 면적(面赤), 구조순렬(口燥脣裂), 도한(盜汗), 신동(身疼) 등이 있음. 어혈적체(瘀血積滯)로 생기면 복중결괴(腹中結塊), 요퇴중통(腰腿重痛), 소복자통(小腹刺痛) 등이 있음. 음허혈약(陰虛血弱)으로 생기면 월경이 적어지다가 아주 없어지고, 팔다리의 골육(骨肉)이 번동(煩疼)하고, 날로 여위고, 조열(潮熱)이 나고, 제하기창(臍下氣脹)이 있고, 잠을 못 자기도 함. |
질병처방 |
대황(大黃)[2]
|
|
삼화탕(三和湯)[1]
|
|
육합탕(六合湯)
|
|
작약(芍藥)[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