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임신 기간은 수태로부터 분만까지 283일로 계산한다. 그 안에 태아가 죽어서 나오거나(유산), 달이 차기 전에 해산하는 경우(조산)를 말한다. 임신 제28주 이전에 태아가 몸 밖으로 배출되는 일을 유산이라 하는데, 대부분 태아가 죽어서 나오며, 살아서 나오는 경우에도 거의 죽게 된다. 또 임신 29주 이후부터 38주 미만 사이의 분만을 조산이라 하는데, 이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발육이 가능하다. 자궁에 이상이 있거나 육체적·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3회 이상 유산이 되는 것을 습관성 유산이라 하는데, 원인을 찾아서 치료해야 한다.
·습관성유산 : 자궁의 발육부전·기형·위치 이상, 만성자궁내막염, 당뇨, 만성신장염, 매독, 과도한 성교, 알코올중독, 니코틴중독, 정신불안, 영양장애, 허약체질 등이 원인이 되어 많이 일어난다. 유산을 피하려면 무거운 짐 운반, 장거리 여행, 심한 운동을 피하고 정신적인 안정과 충분한 영양 섭취를 해야 한다. 또한 유산의 기미가 있으면 안정을 취하고 전문의의 조치를 받도록 한다.
·취생유산(醉生流産) : 별 이상도 없는데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오는 경우를 일컫는다.
·타태(墮胎) : 임신 3개월 이후에 저절로 태아를 모체 밖으로 배출하는 경우이다. 즉 자연 유산·자연 조산을 말한다. 반산(半産)·소산(小産)이라고도 하며, 한편으로는 유산의 의미도 있다.
·활태(滑胎) : 임신 때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연속해서 두 번 이상 유산 또는 조산되곤 하는 것을 말한다.
·사태(死胎) : 태아가 뱃속에서 이미 죽어서 나오는 경우이다.

계통 |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포루(胞漏). 태루(胎漏). 임신기에 자궁출혈이 조금씩 일어나는 병증. 충임맥(衝任脈)의 기가 허하여 방광경과 심경(心經)의 경혈(經血)을 제약하지 못해 일어남. 이 2경의 혈이 평소에는 태경(胎經)이 되므로 수태하면 충임맥이 수섭해 양태(養胎)해야 하는데 기가 약하여 경혈이 새어 조금씩 흘러나오는 것임. 요복통(腰腹痛)이 있으나 소복(小腹)의 하추감(下墜感)은 따르지 않음. 평소대로 음식을 먹고 정신이 안정되면 저절로 나음. |
참고 | 의학입문(醫學入門) |
질병처방 |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교애탕(膠艾湯) | |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
기각탕(枳殼湯) | |
당귀기생탕(當歸寄生湯) | |
독성산(獨聖散)[3] | |
상기생(桑寄生) | |
상기생산(桑寄生散) | |
생지황(生地黃)[9] | |
생지황죽(生地黃粥) | |
애엽(艾葉)[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