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트레포네마 팔리둠의 감염에 의하여 생기는 만성전염병으로 성병의 하나이다. 흔히 환자의 음부에 발병한다. 한방에서는 창병(瘡病)·당창(唐瘡)이라 하는데, 창양의 겉모양이 양매와 비슷하다 하여 양매창(楊梅瘡)이라고도 한다. 성교를 통한 감염률이 가장 높고, 입으로도 전염되며 선천적으로 태아가 모체로부터 감염되기도 한다. 음부에 응어리가 생기는 제1기, 피부에 홍반이 생기는 제2기, 피부·장기 등에 고무종(種)이 생기는 제3기, 신경계가 침해되는 제4기로 크게 나눈다. 심하면 폐인이 되고 사망에 이르는 위험한 전신성 질환으로, 잠복기는 일정하지 않아 3주 정도인 경우도 있으나, 3~6년 만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3주간의 잠복기가 지나면 남자는 음경의 관상구(冠狀球)에, 여자는 음순이나 음부에 처음에는 팥알 크기의 응어리(硬結)가 생기는데 통증은 없다. 이 때 완치되지 않으면 3~6년 후에 가슴·배·손·발의 관절 부위에 백색이나 장밋빛 등 여러 가지 빛깔을 띤 발진이 난다. 제3기는 종기에서 고름이 나고 피부로 확대될 뿐만 아니라 대동맥·뇌동맥·심장·간·장 등에 맹독성 균이 번져 나가 코가 없어지거나 눈이 실명되는 등의 증상이 생겨난다. 선천성매독은 생후 3개월 이내에 2~3기로 진행되어 발육부진과 주름살 또는 기능장애, 눈·귀·치아 등의 발육부진을 가져와 정상적인 성장을 어렵게 하는 무서운 질병이다.
양매창(楊梅瘡)
계통 |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매창(梅瘡). 광창(廣瘡). 시창(時瘡). 면화창(棉花瘡). 양매풍(楊梅風). 양매독(楊梅毒). 성병의 하나. 습열사화(濕熱邪火)로 발생함. 입과 코로 전염된 것은 폐경(肺經)이 독을 받은 것이고, 비뇨기로 전염된 것은 비경(脾經)이 독을 받은 것임. 먼저 하감(下疳)과 횡현(橫痃)을 앓은 후에 양매창을 앓음. 좌우 자개미에 무명씨 만하게 림파절이 붓고 피부가 가려우며 근골은 쑤시지 않으면 독이 피부에 있고 아직 경락에 들이가지 전임. 만약 성교로 전염되면 간(肝)·신(腎)이 독을 받아 먼저 하감(下疳)이 나타나고, 어구(魚口)를 앓은 후에 헌데가 생김. 점차 온 몸에 퍼지며 소변임삽(小便淋澁), 근골동통이 따름. |
참고 | 설씨의감(薛氏醫鑑) |
질병처방 |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
멸반법(滅瘢法) | |
복령탕(茯苓湯)[2]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
상아환(象牙丸) | |
서성복전환(西聖復煎丸) | |
선유량(仙遺粮) | |
선유량탕(仙遺粮湯) | |
선유량환(仙遺粮丸) | |
소종유량탕(消腫遺粮湯) | |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
수주환(水硃丸) | |
육륙환(六六丸) | |
조근환(皂根丸) | |
조약방(照藥方) | |
천금산(千金散)[1] | |
천포환(天疱丸) | |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1] | |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2] | |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3] | |
치양매창취약방(治楊梅瘡吹藥方)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1]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2] | |
치양매천포제창우방(治楊梅天疱諸瘡又方) | |
치양매천포제창일방(治楊梅天疱諸瘡一方) | |
치천포창차약방(治天疱瘡茶藥方)[1] | |
치천포창차약방(治天疱瘡茶藥方)[2] | |
통성오보단(通聖五寶丹) | |
향표탕(香鰾湯) | |
화독산(化毒散) | |
활혼단(活魂丹) | |
회생보명단(回生保命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