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두염(咽頭炎) / 이비인후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인두염(咽頭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급후비(急喉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비색(鼻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인후비종(咽喉痺腫)"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후비(喉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후폐(喉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후풍(喉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인두(咽頭)는 식도 및 후두(喉頭)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근육성 기관으로서, 아래쪽은 식도로 이어지고 위쪽은 후두·구강·비강 및 이관(耳管)으로 이어져 있다. 여기에 생긴 염증을 인두염이라 한다. 인두의 점막이 붓고 헐어 목이 쉬는 병증인데, 연하통(嚥下痛)·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급후비(急喉痺)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졸후비(卒喉痺). 급후폐(急喉閉). 갑자기 목이 쉬는 인후병의 통칭. 폐위(肺胃)에 열이 잠복해 있는 데에 사독(邪毒)이 침입하거나, 풍담(風痰)이 위로 치밀어 올라 생김.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며, 가슴이 울렁거리고 호흡이 가쁘며, 음식을 삼키기가 곤란하고, 가래가 끓고, 목이 쉬며, 얼굴이 벌개지고, 입술이 홍색(紅色)이 되며, 머리가 아프고, 몸이 쑤시며, 심하면 구금(口禁)하고. 맥은 홍대(洪大)함. 원인에 따라 풍열후비(風熱喉痺), 상한후비(傷寒喉痺), 풍한후비(風寒喉痺), 음독후비(陰毒喉痺), 기옹후비(氣壅喉痺), 허화후비(虛火喉痺), 내상후비(內傷喉痺), 외감후비(外感喉痺), 한복후비, 양허후비(陽虛喉痺), 주독후비(酒毒喉痺), 풍독후비(風毒喉痺), 비상후비로 나누고, 증상에 따라 나누기도 함.
질병처방 옥약시(玉鑰匙)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이선산(二仙散)[1]
일자산(一字散)[1]
탈명산(奪命散)[1]
파두연(巴豆烟)
비색(鼻塞)
계통 코(鼻)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비질(鼻窒). 비옹(鼻齆). 비규불리(鼻竅不利). 코막힘. 심폐(心肺)에 병이 나면 코가 이를 받아 통하지 않음. 풍한(風寒)에 손상되면 진액이 응체하여 비기(鼻氣)가 통하지 않음. 폐에 잠복된 열이 있는 데에 풍한을 감수하면 두동통(頭疼痛)이 있고, 설태가 희고, 맥은 부(浮)하며, 끈끈한 콧물이 나옴. 주로 감기 때 있고 비치, 비구, 비연, 비고에서도 있음.
질병처방 건강(乾薑)[5]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궁궁산(芎藭散)[2]
남성음(南星飮)[1]
비불문향취방(鼻不聞香臭方)
신이(辛夷)
어한탕(禦寒湯)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온위탕(溫衛湯)[1]
온폐탕(溫肺湯)[1]
조각(皂角)[1]
창포산(菖蒲散)
통규탕(通竅湯)
필발병(蓽撥餠)
필징가환(蓽澄茄丸)
인후비종(咽喉痺腫)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후비(喉痺). 후폐(喉閉). 넓은 의미에서 인후종통(咽喉腫痛) 병증의 총칭. 풍열외감(風熱外感)이 많고, 음허(陰虛)로도 많이 일어남. 발병과 경과가 급하지 않고 인후의 종창(腫脹), 발적(發赤), 동통(疼痛)도 가벼우며 연하곤란이 약간 있거나 또는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고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남.
참고 소문음양별론(素問陰陽別論)
질병처방 승마(升麻)[4]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풍열로 생긴 인후통. 온 목에 붉은 점이 있고 작열감이 따르며 음식물을 삼키지 못하고 아픔. 동시에 두통, 오한발열(惡寒發熱) 등의 전신 증상이 따름.
질병처방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후비(喉痺)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후폐(喉閉). 목 안이 막혀 통하지 않는 것. 간(肝)·폐(肺)의 화(火)가 성한 데에 다시 풍한(風寒)을 외감(外感)하여 열독(熱毒)이 간경(肝經)으로 들어가서 일어남. 또한 상한(傷寒), 온병(溫病), 열병, 대두온(大頭瘟) 등에서 습담울화(濕痰鬱火)로도 생김. 대개 인후종통(咽喉腫痛)이 나타나고, 얼굴이 붉고 뺨이 부어 심하면 목덜미 밖까지 부으며, 목 안에 주먹 만한 덩이가 있는 것 같아 물도 안 넘어가고 목소리도 안 나오며, 오한 발열이 나고, 촌맥(寸脈)이 관맥(關脈)보다 작고 약함. 또 종기가 목덜미 밖에 생겨 고름이 나고 부으며 아프기도 함.
참고 소문음양별론(素問陰陽別論)
질병처방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강황환(殭黃丸)
거연방(去涎方)
길경(桔梗)[2]
길경탕(桔梗湯)[2]
나복즙(蘿蔔汁)[2]
담반산(膽礬散)
미초(米醋)
박초(朴硝)[2]
벽전(壁錢)[1]
붕사(硼砂)[3]
비마자(蓖麻子)[3]
신효산(神效散)[1]
용뇌고(龍腦膏)[3]
우방자(牛蒡子)[1]
이즙(梨汁)[2]
인담진첩법(引痰眞捷法)
제조(蠐螬)[2]
치후비생창방(治喉痺生瘡方)
통관음(通關飮)
통애산(通隘散)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후폐(喉閉)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후비(喉痺). 인후가 종통(腫痛)하는 병증의 총칭. 외감(外感)·내상(內傷)으로 모두 생기는데, 외감은 풍열(風熱)이고 내상은 음허(陰虛) 때 늘 나타남. 대개 발병과 진행이 급하지 않음. 가벼운 연하곤란이 있고, 목소리가 낮고 잘 안 나오며, 한열(寒熱) 등 증상이 있음.
질병처방 계내금산(鷄內金散)
구인(蚯蚓)[1]
마발(馬勃)
백반(白礬)[8]
사간(射干)[2]
사태(蛇蛻)[3]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취후산(吹喉散)[3]
칠보산(七寶散)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후풍(喉風)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목 안이 벌겋게 붓거나 목덜미 밖까지 연급된 것. 폐위(肺胃) 등 장부 깊이 풍사울열(風邪鬱熱)로 기혈이 응체(凝滯)한 데에 풍담(風痰)이 상공(上攻)해 열독(熱毒)을 결성(結成)하여 일어남. 호흡곤란, 연하곤란, 담연옹색(痰涎壅塞), 어성불출(語聲不出), 하함구급(下頷拘急), 심하면 아관긴급(牙關緊急), 정신혼미 등이 나타남. 인후의 안팎이 부어 질식할 염려가 있음. 경과에 따라 급후풍(急喉風), 만후풍(慢喉風), 주마후풍(走馬喉風)으로 나눔.
질병처방 강설산(絳雪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