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통(排尿痛) / 비뇨기 계통
익생처방관련 약초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삽통(澁痛)
예장(翳障)
오림(五淋)
임력(淋瀝)
자림(子淋)
전포(轉胞)
익생원인과 증상
오줌을 눌 때 느끼는 아픔을 배뇨통이라 하는데, 요도나 방광에 염증이 있을 때 일어난다. 신장결석·신우신염 또는 방광종양·방광염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대개 미열을 동반하나 고열인 경우도 있고, 오한(惡寒)·발한(發汗)·빈뇨(頻尿) 등의 증상이 따를 수 있으며, 오줌에 농(膿)이나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하고, 배뇨 시에 반드시 통증을 수반한다.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삽통(澁痛)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1) 눈병에서 눈알이 깔깔하면서 아픈 증. (2)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아픈 것. |
질병처방 |
삼인호박산(三因琥珀散)
|
예장(翳障)
오림(五淋)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임증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 것. (1) 석림(石淋), 기림(氣淋), 고림(膏淋), 노림(勞淋), 열림(熱淋). (2) 냉림(冷淋), 열림, 고림, 혈림(血淋), 석림. (3) 혈림, 석림, 기림, 고림, 노림. 습열(濕熱)이 방광에 유주(流注)하거나 중기하함(中氣下陷), 신허(腎虛)로 방광의 기화작용이 장애되어 생김. 배뇨에 심한 통증이 있고, 소변이 잦으나 잘 안 나오고 방울방울 떨어짐. |
질병처방 |
구맥(瞿麥)[3]
|
|
난발회(亂髮灰)[2]
|
|
동과(冬瓜)[2]
|
|
동규자(冬葵子)[1]
|
|
등심초(燈心草)
|
|
목통(木通)[2]
|
|
복령(茯苓)[2]
|
|
삼인호박산(三因琥珀散)
|
|
석룡자(石龍子)
|
|
석위(石韋)[2]
|
|
섬료오림산(澹寮五淋散)
|
|
오림산(五淋散)
|
|
유백피(楡白皮)[2]
|
|
율초(葎草)
|
|
초석(硝石)[1]
|
|
치오림일방(治五淋一方)
|
|
택사(澤瀉)[3]
|
|
통초탕(通草湯)[1]
|
|
편축(萹蓄)[2]
|
|
해금사산(海金砂散)[2]
|
|
호박(琥珀)[1]
|
|
호장근(虎杖根)[1]
|
임력(淋瀝)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소변 보는 회수는 잦으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증. 허증(虛證)은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에서 신기(腎氣)나 비신음(脾腎陰)이 모두 허해서 생기고, 실증(實證)은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이 방광에 몰리거나 요도에 결석이 있을 때 생김. |
질병처방 |
납령원(蠟苓元)
|
|
창출난명단(蒼朮難名丹)
|
자림(子淋)
계통 |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임산부의 소변임통(小便淋痛). 소변볼 때마다 아랫배가 아프면서 소변이 임력(淋瀝)하는 병증. 방광의 허열(虛熱)로 일어남. 대개 임신이 되면 포(胞)가 신(腎)에 걸리고, 신에 허열이 있으면 방광으로 옮겨지고, 방광에 열이 있으면 수(水)를 통제하지 못해서 발생함. 또 간경(肝經)에 습열(濕熱)이 있거나, 비폐(脾肺)의 기가 조(燥)해 기화(氣化)하지 못하여 생김. 음허(陰虛)면 때때로 뺨이 화끈 달아오르고 심번(心煩). 불안이 따름. 열실(熱實)이면 구고(口苦), 구갈(口渴), 구설생창(口舌生瘡) 등이 따름. 습열이면 전신의 권태감, 소변 삽통(小便澁痛) 등이 따름. 기허(氣虛)면 소변불금(小便不禁), 소변후 배뇨통이 따름. |
질병처방 |
규자복령산(葵子茯苓散)
|
|
망우산(忘憂散)
|
|
삼출음(蔘朮飮)[2]
|
|
안영산(安榮散)
|
|
지부자탕(地膚子湯)[2]
|
|
치자림일방(治子淋一方)
|
|
택사탕(澤瀉湯)[2]
|
전포(轉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