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오줌을 눌 때 느끼는 아픔을 배뇨통이라 하는데, 요도나 방광에 염증이 있을 때 일어난다. 신장결석·신우신염 또는 방광종양·방광염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대개 미열을 동반하나 고열인 경우도 있고, 오한(惡寒)·발한(發汗)·빈뇨(頻尿) 등의 증상이 따를 수 있으며, 오줌에 농(膿)이나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하고, 배뇨 시에 반드시 통증을 수반한다.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계통 |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변비(便秘)와 소변량 감소 및 배뇨곤란을 말함. |
질병처방 | 대칠기탕(大七氣湯) |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
마치현(馬齒莧)[2]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
삼인원(三仁元) | |
삼화탕(三和湯)[3] | |
흑두(黑豆)[7] |
삽통(澁痛)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1) 눈병에서 눈알이 깔깔하면서 아픈 증. (2)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아픈 것. |
질병처방 | 삼인호박산(三因琥珀散) |
예장(翳障)
계통 | 눈(眼)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눈의 겉부분에 예막이 없이 눈동자가 속에서 가리워지는 증을 말함. 원예내장(圓翳內障), 활예내장(滑翳內障), 삽예내장(澁翳內障), 빙예내장(氷翳內障), 조화예내장(棗花翳內障) 등에서 볼 수 있음. |
질병처방 | 달담(獺膽) |
마광산(磨光散) | |
마아초(馬牙硝)[1] | |
백반(白礬)[3] | |
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 | |
석결명(石決明) | |
선각(蟬殼)[1] | |
속효산(速效散)[1] | |
유인고(蕤仁膏) | |
제조(蠐螬)[1] | |
주경원(駐景元) | |
죽력(竹瀝)[1] | |
차전산(車前散) | |
춘설고(春雪膏)[2] |
오림(五淋)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임증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 것. (1) 석림(石淋), 기림(氣淋), 고림(膏淋), 노림(勞淋), 열림(熱淋). (2) 냉림(冷淋), 열림, 고림, 혈림(血淋), 석림. (3) 혈림, 석림, 기림, 고림, 노림. 습열(濕熱)이 방광에 유주(流注)하거나 중기하함(中氣下陷), 신허(腎虛)로 방광의 기화작용이 장애되어 생김. 배뇨에 심한 통증이 있고, 소변이 잦으나 잘 안 나오고 방울방울 떨어짐. |
질병처방 | 구맥(瞿麥)[3] |
난발회(亂髮灰)[2] | |
동과(冬瓜)[2] | |
동규자(冬葵子)[1] | |
등심초(燈心草) | |
목통(木通)[2] | |
복령(茯苓)[2] | |
삼인호박산(三因琥珀散) | |
석룡자(石龍子) | |
석위(石韋)[2] | |
섬료오림산(澹寮五淋散) | |
오림산(五淋散) | |
유백피(楡白皮)[2] | |
율초(葎草) | |
초석(硝石)[1] | |
치오림일방(治五淋一方) | |
택사(澤瀉)[3] | |
통초탕(通草湯)[1] | |
편축(萹蓄)[2] | |
해금사산(海金砂散)[2] | |
호박(琥珀)[1] | |
호장근(虎杖根)[1] |
임력(淋瀝)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소변 보는 회수는 잦으나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증. 허증(虛證)은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에서 신기(腎氣)나 비신음(脾腎陰)이 모두 허해서 생기고, 실증(實證)은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이 방광에 몰리거나 요도에 결석이 있을 때 생김. |
질병처방 | 납령원(蠟苓元) |
창출난명단(蒼朮難名丹) |
자림(子淋)
계통 |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임산부의 소변임통(小便淋痛). 소변볼 때마다 아랫배가 아프면서 소변이 임력(淋瀝)하는 병증. 방광의 허열(虛熱)로 일어남. 대개 임신이 되면 포(胞)가 신(腎)에 걸리고, 신에 허열이 있으면 방광으로 옮겨지고, 방광에 열이 있으면 수(水)를 통제하지 못해서 발생함. 또 간경(肝經)에 습열(濕熱)이 있거나, 비폐(脾肺)의 기가 조(燥)해 기화(氣化)하지 못하여 생김. 음허(陰虛)면 때때로 뺨이 화끈 달아오르고 심번(心煩). 불안이 따름. 열실(熱實)이면 구고(口苦), 구갈(口渴), 구설생창(口舌生瘡) 등이 따름. 습열이면 전신의 권태감, 소변 삽통(小便澁痛) 등이 따름. 기허(氣虛)면 소변불금(小便不禁), 소변후 배뇨통이 따름. |
질병처방 | 규자복령산(葵子茯苓散) |
망우산(忘憂散) | |
삼출음(蔘朮飮)[2] | |
안영산(安榮散) | |
지부자탕(地膚子湯)[2] | |
치자림일방(治子淋一方) | |
택사탕(澤瀉湯)[2] |
전포(轉胞)
계통 | 소변(小便)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전포(轉胞). 잉부전포(孕婦轉胞). 포전(胞轉). 임신부의 소변불리(小便不利). 임신 때 태아가 자라면서 방광을 압박하는데 소변을 오래 참거나, 크게 놀라거나 성이 나서 기가 울체되거나, 또 중기(中氣)가 부족하여 생김. 방광에 소변이 찼는데도 누지 못하고 괴로움. |
질병처방 | 난발회(亂髮灰)[2] |
삼출음(蔘朮飮)[1] | |
삼출음우방(蔘朮飮又方) | |
이석산(二石散) | |
인조갑(人爪甲)[1] | |
총백탕(蔥白湯)[1] | |
치전포일방(治轉胞一方) | |
치전포일법(治轉胞一法) | |
포황산(蒲黃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