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간(癲癎) / 적취(積聚)

동의보감에서만 "전간(癲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전간(癲癎)
계통 |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전증(癲證)과 간증(癎證)을 합한 것. 발작적인 의식장애가 주증(主證)인 병증. 전(癲)은 정신착란의 일종이고, 간(癎)은 발작성 의식장애가 주증임. 선천적 요인으로 인하거나, 울담(鬱痰)이 심포(心包)를 막아 신(神)이 집을 지키지 못해서 일어남. 어지럽고, 두통이 나고, 심번(心煩)이 있고, 하품을 하다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며 강직성 경련 발작을 일으킴. 때로 순간적인 의식장애가 있거나, 무의식적 행동을 할 수 있음. 일정시간 후 거품을 흘리면서 경련이 풀리고 의식을 회복함. 그러나 피로, 심번, 두통, 심계(心悸), 불안, 불면이 계속되면 다시 발작을 일으킴. |
질병처방 |
경기원(驚氣元)
|
|
공연환(控涎丸)
|
|
귀신단(歸神丹)
|
|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1]
|
|
단간단(斷癎丹)
|
|
만병원(萬病元)
|
|
반단환(礬丹丸)
|
|
사향(麝香)[2]
|
|
석창포(石菖蒲)[1]
|
|
소단환(燒丹丸)
|
|
안신환(安神丸)
|
|
오간환(五癎丸)
|
|
오생환(五生丸)
|
|
우황사심탕(牛黃瀉心湯)
|
|
육혼단(育魂丹)
|
|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
저심(猪心)
|
|
전씨오색환(錢氏五色丸)
|
|
철장(鐵漿)
|
|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
|
축보환(丑寶丸)
|
|
치두(鴟頭)[1]
|
|
치두환(鴟頭丸)
|
|
편복산(蝙蝠散)
|
|
포담환(抱膽丸)
|
|
활호단(活虎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