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유방에 발생하는 선암(腺癌 : 선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 생기는 암. 위암·대장암 따위)이다. 유암(乳癌)이라고도 한다. 초기에는 통증이 없다. 대표적인 증상은 유방을 만져 보았을 때 딱딱하고 잘 움직이는 멍울이 잡히는 것이다. 차츰 이 멍울이 피부에 유착되며 외관상의 변화가 일어난다. 유두에서 피가 섞인 분비액이 나오고 유두의 형태가 변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유방의 겉이 보조개처럼 움푹 들어가는 것도 증상의 하나이다. 더욱 진행되면 궤양 및 통증을 수반한다. 유방암은 암 중에서도 유일하게 자신의 손으로 만져 보고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면밀히 살펴보고 곧바로 전문의의 검사를 받도록 한다.
위험 인자
·30대 이상의 여성으로 미혼이거나 출산 경험이 없다.
·첫 월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었다.
·고령 초산(30세 이상)을 경험했다.
·유선(乳腺) 질병에 걸린 일이 있다.
·가족 중에 유방암에 걸린 사람이 있다.

계통 | 젖(乳)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취내(吹嬭). 유옹(乳癰). 유방에 생긴 옹저(癰疽). 내취(內吹)와 외취(外吹)로 구분됨. 간기울결(肝氣鬱結), 위열옹체(胃熱壅滯)로 일어남. 내취는 유방이 벌겋게 붓고 열이 나며 아프다가 2주쯤 지나면 곪음. 초기에 한열왕래(寒熱往來)가 있고, 한열이 없어졌는데도 딴딴히 붓고 잘 삭지 않거나 다시 때때로 도동(跳動)하기도 함. |
질병처방 | 귤피산(橘皮散) |
방해(螃蟹) | |
백정산(白丁散) | |
산약(山藥)[1] | |
승금단(勝金丹)[1] | |
입효산(立效散)[6] | |
조합산(皂蛤散) | |
지주(蜘蛛)[2] | |
청피(靑皮)[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