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통(齒痛) / 치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치통(齒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아동(牙疼)"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아치종통(牙齒腫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아치통(牙齒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열치통(胃熱齒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충아통(蟲牙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치통(齒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이가 쑤시고 아픈 증세이다. 이앓이라고도 한다. 이의 표면을 덮어 상아질을 보호하고 있는 단단한 법랑질이 세균 작용에 의해 파괴되거나 입 안의 음식물이 분해되어 형성된 산의 영향으로 탈퇴하는 경우에 생긴다. 일반적으로 치아 자체의 통증뿐 아니라 치주 조직의 통증도 포함된다. 충치의 초기를 비롯하여 치아의 치은(잇몸) 근처가 쐐기 모양으로 패인 마모증 등에서는 치은을 밀거나 치아를 교합해도 아프지 않으나, 찬 공기나 물에 닿으면 통증을 느낀다. 이 밖에 치아가 들떠서 음식을 씹으면 아픈 치은염이나 치조골염·치주염·치조농루의 급성 발작 등이 있다. 동의 고전에는 치통칠종(齒痛七種)이라 하여 치통을 풍열통·풍랭통·열통·한통·독담통·어혈통·충식통의 7가지로 나눈다.
·풍열통(風熱痛) : 잇몸이 붓고 몹시 아프며 고름이 나오고 역한 냄새가 나는 잇병이다. 속의 열과 밖의 풍사가 부딪쳐 생긴다.
·풍랭통(風冷痛) : 잇몸이 붓지 않고 벌레도 먹지 않으며 이가 아프고 날이 갈수록 이가 흔들리는 잇병이다.
·열통(熱痛) : 잇몸이 붓고 해어져 문드러지고 아프며 입에서 냄새가 나는데, 찬바람을 쏘이거나 찬 것을 먹으면 통증이 덜어진다. 위장에 열사나 습열이 몰려 생긴다.
·한통(寒痛) : 한사가 뇌에 침입하여 머리가 아프면서 이가 쏘고 아픈 잇병이다.
·독담통(毒痰痛) : 잇몸이 몹시 아프고 가래가 성하며 기침이 나오는 잇병이다. 열이 나고 담이 생겨 독기가 경맥에 들어가 생긴다.
·어혈통(瘀血痛) : 풍열로 잇몸에 어혈이 생겨 이가 아픈데, 통증의 특징은 송곳으로 찌르는 듯하고 당기는 감이 있다.
·충식통(蟲蝕痛) : 충치로 이가 아픈 증세를 말한다.
아동(牙疼)
계통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아치통(牙齒痛)과 같음.
질병처방 청염(靑鹽)[2]
아치종통(牙齒腫痛)
계통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치은종통(齒齦腫痛)과 같음.
질병처방 고치산(固齒散)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백반(白礬)[7]
백양수피(白楊樹皮)[1]
세신탕(細辛湯)
파두(巴豆)[2]
아치통(牙齒痛)
계통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치통(齒痛). 충치통(蟲齒痛). 위(胃)의 습열(濕熱)로 생긴 치통은 시원하게 하면 좀 낫고, 풍한사(風寒邪)로 생긴 치통은 따뜻하게 하면 좀 나음. 간신음허(肝腎陰虛)로 허화상염(虛火上炎)해 생기면 은근히 아프며, 충(蟲)으로 생기면 통증이 났다가 멎었다가 함.
질병처방 색이약(塞耳藥)
치아동방(治牙疼方)
호동루(胡桐淚)
위열치통(胃熱齒痛)
계통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위열로 생긴 치통. 양명위경(陽明胃經)에 잠복된 열이 풍열(風熱)과 함께 위로 치밀어 생김. 이가 쏘는데 차게 하면 통증이 덜해짐.
질병처방 백지탕(白芷湯)
사위탕(瀉胃湯)[2]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청위산(淸胃散)
형개탕(荊芥湯)[1]
충아통(蟲牙痛)
계통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충치통(蟲齒痛).
질병처방 사과(絲瓜)[1]
세신(細辛)[8]
탁목조(啄木鳥)[2]
치통(齒痛)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아통(牙痛). 아치통(牙齒痛). 양명위경(陽明胃經)에 쌓여 있던 습열(濕熱)이 풍한(風寒)이나 냉음(冷飮)을 만나거나, 신(腎)의 상화(相火)가 상충(上衝)하여 이에 통증이 생김. 이가 쏘며 잇몸이 들뜸. 통증이 심해 머리까지 당기며, 차게 하면 덜하고 뜨거운 것을 싫어함. 맥은 홍(洪)·삭(數)하고 유력(有力)함.
질병처방 갈초산(蝎梢散)[1]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1]
괵귀산(馘鬼散)
노봉방(露蜂房)[2]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세신산(細辛散)
신허위열아동방(腎虛胃熱牙疼方)
아동금수약(牙疼噙漱藥)
욱리근(郁李根)
웅황정통고(雄黃定痛膏)
입효산(立效散)[5]
찰아방(擦牙方)[1]
찰아방(擦牙方)[2]
찰아지통방(擦牙止痛方)
천초(川椒)[2]
치치뉵우방(治齒衄又方)[3]
향초산(香椒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