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성숙한 여성의 자궁에서 주기적으로 출혈하는 생리 현상을 월경이라 한다. 임신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 황체(黃體)로부터의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자궁 내막이 벗겨짐으로써 일어난다. 달거리·멘스·생리·경도(經度)라고도 한다. 여성의 몸은 사춘기에서 폐경까지 임신을 위해 월경 주기를 보이게 되는데, 이 월경이 순조롭지 못한 현상을 월경불순이라 한다. 즉 월경의 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또는 주기가 정상적인 월경 주기 일수를 벗어나는 경우 등이다. 부조증·월경부조·월경이상이라고도 한다. 여성의 생리 주기는 대개 28일을 주기로 하지만, 여성마다 차이가 있다. 또한 월경 기간은 대체로 3~5일, 때로는 7일 정도까지가 정상이다. 월경이 순조롭지 못한 원인을 보면, 임신이나 폐경, 스트레스나 체중 감소도 불규칙한 월경 주기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저체중(低體重)이나 호르몬 불균형, 힘든 운동 등의 원인으로도 사춘기(思春期)가 늦게 올 수 있으며, 출산 후 생리가 다시 정상 궤도에 오르려면 몇 달이 걸릴 수도 있다. 수유 중에도 월경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으며, 정서적으로 일어나는 스트레스는 생리 주기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경(調經) : 월경을 고르게 하는 것, 즉 월경불순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각종 월경 이상을 치료하여 월경을 정상적으로 하게 하는 것을 말하며, 좁은 의미에서는 월경 주기 이상을 치료하여 월경을 고르게 하는 것을 말한다.

계통 |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월경불순(月經不順). 월경병의 통칭. 전신 또는 성기의 이상으로 인해 생김. 월경선기(月經先期), 월경후기(月經後期), 월경선후무정기, 월경과다, 월경과소, 경폐(經閉), 붕루(崩漏), 경행토뉵(經行吐衄), 경행변혈(經行便血), 월경통 등 월경주기와 월경량의 이상, 월경 때 수반되는 여러 병증을 말함. |
질병처방 |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