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인두(咽頭)는 식도 및 후두(喉頭)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근육성 기관으로서, 아래쪽은 식도로 이어지고 위쪽은 후두·구강·비강 및 이관(耳管)으로 이어져 있다. 여기에 생긴 염증을 인두염이라 한다. 인두의 점막이 붓고 헐어 목이 쉬는 병증인데, 연하통(嚥下痛)·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계통 |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후비(喉痺). 후폐(喉閉). 넓은 의미에서 인후종통(咽喉腫痛) 병증의 총칭. 풍열외감(風熱外感)이 많고, 음허(陰虛)로도 많이 일어남. 발병과 경과가 급하지 않고 인후의 종창(腫脹), 발적(發赤), 동통(疼痛)도 가벼우며 연하곤란이 약간 있거나 또는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고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참고 | 소문음양별론(素問陰陽別論) |
질병처방 | 승마(升麻)[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