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증(精神分裂症) / 기타 질환

 익생양술에서 "정신분열증(精神分裂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사수(邪祟)"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한발광(傷寒發狂)"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전광(癲狂)"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정매(精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호매(狐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정신병의 하나로서 현실과의 접촉을 상실하고 분열병성 황폐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정신분열병·정신괴리증·조발성치매(早發性癡呆)라고도 한다. 혼자서 환각에 빠져 중얼대며 웃다가 울다가 침묵한다든가, 심하면 난폭한 행동을 하며 소리를 크게 지르거나 공연히 쓸데없는 말을 하는 병증이다. 청년기에 많이 일어나는 내인성(內因性) 정신병의 하나로 유전적 소인(素因)과 깊은 관련이 있는 듯하며, 이성과 감정·의지가 조화를 잃고 끝내는 치매가 된다. 긴장병·파과병 ·치매의 세 아형(亞型)으로 분류한다.
·긴장병(緊張病) : 정신분열증의 한 형태. 혼미 상태와 흥분 상태가 번갈아 일어난다.
·망상치매(妄想癡呆) : 정신분열증의 한 유형. 30~40대의 중년에게 흔히 일어나며, 환각과 망상이 심하게 드러나고 피해망상으로 질투심이 많아진다.
·파과병(破瓜病) : 여성의 파과기(破瓜期 : 여성이 월경을 처음 시작하는 15~16세의 시기) 전후에 일어나기 쉬운 정신분열증의 한 가지. 망상·환청·충동 행위·독백 등의 증상을 보인다.
사수(邪祟)
계통 사수(邪祟)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귀수(鬼祟). 귓병(鬼病). 호빙(狐憑). 사매(邪魅)를 참조. (2) 전신강직. 긴장병. 얼굴이 누렇게 되고 여위며, 이상한 꿈을 꾸어 놀라기도 하고, 혼권(昏倦)해 드러눕고, 언어가 착란되고, 음식을 먹지 않음.
질병처방 도노원(桃奴元)
벽사단(辟邪丹)[2]
살귀오사환(殺鬼五邪丸)
애실(艾實)
이자건살귀원(李子建殺鬼元)[2]
잠퇴지(蠶退紙)[2]
상한발광(傷寒發狂)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한때 높은 열로 발광하는 것. 태양병(太陽病) 6~7일에 표증(表證)이 아직 있는데 하약(下藥)을 썼거나, 소양병(少陽病)에서 땀을 내면 안되는데 억지로 땀을 내어 망양(亡陽)이 됐거나, 양명병(陽明病)에서 처음에 먹으려 하는데 오히려 소변불리(小便不利)가 되면 땀이 나면서 발광함. 신열대양(身熱戴陽)이 있고, 손발이 싸늘해지고, 잠을 못 자고, 먹지 않아도 배고프지 않으며, 아랫배가 딴딴하고 그득하며, 소변자리(小便自利)가 있음.
참고 상한론태양병(傷寒論太陽病)
질병처방 삼백음(三白飮)
파관탕(破棺湯)
전광(癲狂)
계통 토(吐)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정신이상이 생긴 병증. 전(癲)은 일종의 우울 상태, 광(狂)은 흥분 상태임. 전신의 기혈이 허하거나 기울(氣鬱), 담화(痰火), 심화(心火) 등으로 생김. 전은 음증(陰證)·허증(虛證)에 속하고, 광은 양증(陽證)·실증(實證)에 속함. 전증이 오래되면 몰렸던 담이 화(火)로 변해 광증이 될 수 있고, 광증이 오래 경과하면 전증으로 이행됨. 대개 전증과 광증이 함께 나타남. 전은 담기(痰氣)가 울결(鬱結)하거나, 또는 심비(心脾)가 모두 허해서 발생함. 광증은 양기(陽氣)가 지나치게 강하고 담화(痰火)가 심(心)에 작용해서 생김. 전은 표정이 냉담하고 멍청하며, 말이 없거나 말에 두서가 없고, 배가 고픈 지를 모르며, 심하면 몸이 뻣뻣해지며 졸도하여 직시(直視)함. 광증은 떠들고 옷을 벗으며 사람을 때리거나 욕하고 노래하며 웃고 화내는 등 증상이 나타남.
질병처방 반천하수(半天河水)[2]
삼선산(三仙散)
삼성산(三聖散)[1]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여의단(如意丹)
엽씨웅주환(葉氏雄朱丸)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우황(牛黃)[1]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울금환(鬱金丸)
일취고(一醉膏)
자하거(紫河車)
작소(鵲巢)
진사산(辰砂散)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진심단(鎭心丹)[2]
천문동(天門冬)[2]
철분산(鐵粉散)
태을신정단(太乙神精丹)
통설산(通泄散)
황단(黃丹)[1]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
정매(精魅)
계통 사수(邪祟)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사수(邪祟)와 같음.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상한 병.
질병처방 주사(朱砂)[5]
패천공(敗天公)
호매(狐魅)
계통 사수(邪祟)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호빙(狐憑). 사수(邪嗽)과 같음. 일종의 정신이상. 정기(正氣)가 허약하여 정명(精明)한 기가 부족하고 사기(邪氣)가 이겨 사심(邪心)이 일어나 기혈이 어지럽혀져서 생김. 얼굴이 누렇게 되고 몸이 여위며, 귀신에 빌미되어 헛것이 보이거나 들림.
질병처방 응육(鷹肉)
호육(狐肉)[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