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땀의 생리적인 기능은 크게 몸 안의 노폐물을 살갗을 통해 내보내는 노폐물 배설 기능과 그 과정에서 높아진 열을 발산하여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정상적으로 노폐물 배설이나 체온 조절을 위해 흘리는 땀 이외의 과다한 발한(發汗)은 몸의 진액을 지나치게 손상시켜 기와 체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계통 | 진액(津液)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기가 허해 저절로 땀을 흘리는 병증. 폐기(肺氣)와 비기(脾氣) 부족으로 체표(體表)의 위기(衛氣)가 허약해서 생김. 바람이 싫고, 몸이 차고, 피곤하고, 호흡이 밭고, 얼굴이 창백하고,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남. 맥은 미(微)하거나 완(緩)하고 허대(虛大)함. |
질병처방 | 기부탕(耆附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