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음증(傷寒陰證) / 상한(傷寒)

 익생양술에서 "신기허약(腎氣虛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상한음증(傷寒陰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몸의 모든 기력이 약해진 경우이다. 신기허 또는 신기부족이라고도 한다. 신기(腎氣)란 신의 정기로서 사람이 활동하는 힘의 근원이 된다. 이 신기가 허약하면 정력이 쇠잔해진다. 선천적으로 허약하거나, 병후허약, 과로, 노쇠, 지나친 방사(房事) 등으로 신기가 허해져 심신이 허약하고 늘 피로를 느끼며 신체의 원기가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상한음증(傷寒陰證)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상한삼음병(傷寒三陰病). 상한이 삼음경(三陰經)에 직접 들어가 생긴 병증. 태음경병(太陰經病), 소음경병(少陰經病), 궐음경병(厥陰經病) 등이 있음. 모두 이허한증(裏虛寒證)에 속함. 태음병은 비위의 허한증, 소음병은 심신의 허한증, 궐음병은 궐열승복증과 상열하열증으로 나타남. 족태음경병(足太陰經病)은 복만(腹滿), 설사, 토사(吐瀉) 등이 있음. 수태음경병(手太陰經病)은 구건(口乾)이 있음. 족소음경병(足少陰經病)은 수족랭(手足冷), 설사 등이 있음. 수소음경병(手少陰經病)은 맥미(脈微), 기와(嗜臥) 등이 있음. 족궐음경병(足厥陰經病)은 이롱(耳聾), 음낭수축 등이 있음. 수궐음경병(手厥陰經病)은 심번(心煩), 비만, 수족랭 등이 있음.
질병처방 강부탕(薑附湯)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1]
사역탕(四逆湯)
신황삼백탕(辛黃三白湯)
오적산(五積散)
유황(硫黃)[5]
음단탕(陰旦湯)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정양산(正陽散)[1]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