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혈(吐血)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토혈(吐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혈(嘔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노심토혈(勞心吐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토혈(吐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입으로 피를 토하는 병증이다. 앞의 ‘각혈’란에서도 설명했듯이 각혈은 호흡기 계통에서 나오는 것으로 선홍색(鮮紅色)을 띤다. 하지만 토혈은 주로 위·식도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되는데, 식도·위·십이지장 등에 궤양이 왔거나 암종(癌腫)이 생겼을 때 제일 많이 토혈한다. 그 밖에 월경의 대상(代償) 즉 대상월경으로 토혈하는 경우도 있으며, 히스테리·간질로 인해서도 토혈한다.
·음허토혈(陰虛吐血) : 신(腎) 기능의 허약이나 과음(過淫 : 성교를 지나치게 함)으로 정력이 약해져서 발열하면 이 열이 폐에 미쳐 폐출혈이 되는 경우이다.
·적열토혈(積熱吐血) : 열이 축적되어 심해졌을 때 오는 토혈을 말한다.
구혈(嘔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배(脇腹)에서 피가 나오는 것. 피를 토하고, 흉협통(胸脇痛)이 있음. 노기(怒氣)가 쌓여 간(肝)을 손상시켜 간화(肝火)가 속에서 왕성하여 위중(胃中)의 혈(血)을 자극하여 위로 솟아오른 것임. 또는 중기(中氣)가 실조(失調)한 데에 사열(邪熱)이 속에 있어 일어남.
질병처방 대계음자(大薊飮子)
방상산(蚌霜散)[1]
십회산(十灰散)[1]
천문동탕(天門冬湯)
칠생탕(七生湯)
흑신산(黑神散)[1]
노심토혈(勞心吐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사려 과다나 육체적 과로로 생긴 심화(心火)가 위로 타올라서 생긴 토혈. 토혈(吐血) 참조.
질병처방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연심산(蓮心散)[1]
토혈(吐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기침 없이 입에서 피를 토하는 증. 울노(鬱怒), 술, 음식, 노권 등으로 내상(內傷)되어 장부(臟腑)에 열이 성하거나 음허화동(陰虛火動), 기허비한(氣虛脾寒) 등으로 인하여 일어남. 음허화왕이면 발열, 도한(盜汗), 이명(耳鳴), 불매(不寐) 등이 있고 맥이 세삭(細數)함. 위(胃)에 적열(積熱)이 있으면 선홍색 또는 암자색 피를 토하고, 배가 불어나며 아프고, 변비가 생기며, 설태가 누렇고, 맥이 활삭(滑數)함. 간화(肝火)면 선홍색 피를 토하고, 입안이 쓰고, 가슴이 답답하고, 성질이 조급해 성을 잘 내고, 혀가 짙은 홍색을 띰. 비위허약(脾胃虛弱)이면 암자색 피를 토하고, 추위를 타고 사지가 차며, 맥이 미(微)함.
질병처방 갈황환(葛黃丸)[1]
감리고(坎離膏)[1]
고영산(固榮散)
교어피(鮫魚皮)
구담환(狗膽丸)
구인(蚯蚓)[2]
구즙(韭汁)[1]
궁궁(芎藭)[1]
나복즙(蘿蔔汁)[1]
난발회(亂髮灰)[1]
대계음자(大薊飮子)
대아교원(大阿膠元)
독삼탕(獨蔘湯)[2]
동자뇨(童子尿)[1]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1]
방상산(蚌霜散)[1]
백급(白芨)
백모근(白茅根)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사생환(四生丸)[1]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1]
상백피(桑白皮)[3]
생지황(生地黃)[1]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시제백출산(是齊白朮散)
십회산(十灰散)[1]
애엽(艾葉)[1]
우즙산(藕汁散)
울금(鬱金)
은포산(恩袍散)
인삼구폐산(人參救肺散)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저폐(猪肺)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3]
차전초(車前草)[1]
천문동탕(天門冬湯)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측백산(側柏散)
측백엽(側柏葉)[1]
측백탕(側柏湯)
치토혈일방(治吐血一方)
칠생탕(七生湯)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현상고(玄霜膏)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1]
혈여산(血餘散)
흑신산(黑神散)[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