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종(擁腫) / 피부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옹종(擁腫)"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심옹(心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종(癰腫)"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창독(瘡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창루(瘡瘻)"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몸에 난 작은 종기가 좀처럼 없어지지 않는 증세로, 가려움증이나 따가운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심옹(心癰)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정저(井疽). 심루저(心漏疽). 심장 부위에 생긴 내옹(內癰). (2) 심장의 구미혈(鳩尾穴), 중정혈(中庭穴)의 두 혈 사이에 생긴 무두저(無頭疽). 외옹(外癰). 즉 심화(心火)가 치성한 데에 술을 많이 마시고 열성(熱性) 음식을 좋아하여 생김. 두 유방 사이에 콩알만한 옹저가 생겨 은은히 아프면서 조금 붓고, 오한 발열이 나고, 신통(身痛)이 있고, 두면(頭面)이 벌겋게 되고, 구갈(口渴)이 나서 물을 마시고, 두려워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심하면 정신이 흐려짐. 옹저가 곪아 터지면 누공이 생기기 쉬움.
질병처방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사심탕(瀉心湯)[2]
양혈음(凉血飮)[2]
청심산(淸心散)
청심환(淸心丸)[4]
옹종(癰腫)
계통 제법(諸法)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저종통(癰疽腫痛). 옹(癰)과 같음. 옹으로 종기가 생긴 것. 옹은 몸의 겉과 장부 등이 곪는 병증임. 외감육음(外感六淫), 내상칠정(內傷七情), 식상(食傷), 외상(外傷) 등으로 기혈에 열독(熱毒)이 몰려 생김. 옹은 저(疽)에 비해 얕은 곳에 생기며 범위가 좁고 경과가 빠르며 곪아 터진 후 잘 아묾. 외옹(外癰)은 몸의 겉에 생겨 국소가 붉어지고 피부가 엷고 번들거리며 열이 나고 아픔. 내옹(內癰)은 장부에 병변이 있고 피부 증상이 없거나 가벼움. 장부에 따라 심통, 호흡장애, 기침, 농혈담, 복통, 오심, 구토, 혈변, 혈뇨, 변비 등이 있음.
질병처방 만응고(萬應膏)[2]
상륙(商陸)[4]
생지황(生地黃)[7]
웅작시(雄雀屎)[4]
자고(慈姑)
적소두(赤小豆)[10]
창독(瘡毒)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창양(瘡瘍)의 독. (2) 매독의 독기.
질병처방 괴화(槐花)[3]
웅황(雄黃)[5]
창루(瘡瘻)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창양이 뚫어져 고름이 흐르고 냄새가 나며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 폐기(肺氣) 손상이 오래되어 하함(下陷)하여 발생함. 여러가지 창옹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고름의 통로가 생겨 누공(瘻孔)이 됨. 일반적으로 음증에 많이 나타남.
질병처방 돈위환(豚胃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