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중익기(補中益氣) / 건강에 관한 계통

 익생양술에서만 "보중익기(補中益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중초(비위)를 보하며 기허증(氣虛症)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비위는 기혈을 만드는 장부(臟腑)이기 때문에 비위를 보하는 것은 기를 보하는 기본 방법이 된다. 기허(氣虛)란 기가 허하거나 부족한 것, 원기가 부족하거나 약해진 것을 말한다. 노권내상으로 장부가 허손되거나 중병을 오랫동안 앓아서 원기가 부족해져 생긴다. 비기가 허해서 팔다리에 힘이 없고 온몸이 노곤하며 소화가 잘 안 되고 대변이 묽고 항문이 빠져나오며 혀가 희끄무레하고 엷고 허연 설태가 끼며 맥이 유약한 증상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