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충(驅蟲) / 건강에 관한 계통

 익생양술에서 "구충(驅蟲)"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감충(疳蟲)"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고창(蠱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충병(九蟲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달벽(疸癖)"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복시(伏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삼시충(三尸蟲)"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삼충병(三蟲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소아감충(小兒疳蟲)"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채소독(菜蔬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촌백충병(寸白蟲病)"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충심통(蟲心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충적(蟲積)"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황반(黃胖)"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황종(黃腫)"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회감(蛔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회궐(蛔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희끽생미(喜喫生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몸 속의 기생충(회충, 요충, 십이지장충, 촌충)을 없애고자 할 경우이다.
·회충 : 몸 길이 15~30cm이고 고리마디가 없는 지렁이 모양이다. 거위 또는 회라고도 한다. 암컷은 하루에 20만 개 이상의 알을 낳는데 대변과 함께 몸 밖으로 나온 알은 성숙란이 되어 야채·물 등을 통해 인체에 들어가 소장에서 발육한다. 회충증(회충병)에 걸리면 속이 메스꺼우며 입맛이 없어지고 몸이 점차 여위며 배가 은근히 아픈데, 특히 배고플 무렵에 더 심하여 때로 발작적인 복통이 오기도 한다. 얼굴은 창백하거나 조금 누르며 때로 흰 반점이 나타난다. 또한 끈적끈적한 침이 나오고 설사를 자주 하게 된다. 심하면 입이나 코로 회충을 게우는 경우도 있다. 어린이들에게 많다.
·요충 : 몸 길이는 암컷 10~13mm, 수컷 3~5mm이며 명주실처럼 희고 가는 선충(線蟲)이다. 실거위·좀거위라고도 한다. 장내(腸內)에 기생하는데 주로 소장이나 맹장 부위에 기생한다. 항문으로 기어나와 회음부의 피부에 많이 산란한다. 요충증(요충병)에 걸리면 항문에 가려움증을 일으키는데 특히 밤에 더 심해 수면장애가 오며 불안해한다. 또 항문 주위가 가려워 긁으면 상처가 생길 수 있다. 어린이들에게 많은데 요충알에 오염된 음식물을 먹거나 손가락을 빠는 등 나쁜 습관에 의하여 생긴다.
·십이지장충 : 몸 길이 약 1cm이며, 몸빛은 젖빛이고, 길쭉한데 약간 굽었다. 입이나 피부를 통하여 들어가는데 채소를 날것으로 먹거나 인분이 몸에 닿아 감염되므로 채독벌레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사람의 십이지장에서 발견되었으나 보통 공장(空腸 : 소장의 일부. 십이지장에 이어지는 소장의 앞 반 약 5분의 2를 가리킨다)에 기생한다. 십이지장충증(십이지장충병)에 걸리면 빈혈·식욕부진·만복감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체력이 쇠약해지고 손톱의 광택이 없어지고 피부는 고엽색(枯葉色)으로 변한다. 또 두통·귀울림·권태감·현기증과 함께 숨이 차고 부종을 일으킨다.
·촌충 : 대개는 장에 기생하는데, 많은 체절이 이어져 끈 모양을 이루며, 대형인 종류에서는 몸 길이가 30m나 되는 것도 있다. 몸이 끊어져도 생존을 계속하며 피를 빨아 먹는 고약한 기생충이다. 도충(도蟲)·조충(條蟲)·촌백충(寸白蟲)이라고도 한다. 중간 숙주는 송어·돼지·소·개 등이며, 촌충에 감염된 날고기 또는 설익은 고기를 먹어서 생긴다. 촌충증(촌충병)에 걸리면 배가 은근히 아프며 설사를 하고 배가 창만해지며 오래 지속되면 영양 불량과 빈혈로 얼굴색이 누렇고 몸은 여위며 현기증과 수면 장애가 따른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종이 나타난다. 특히 대변을 볼 때 끊어진 촌충의 편절이 몇 개 또는 수십 개씩 떨어져 나온다.
감충(疳蟲)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식충(蝕蟲). 소어충(小魚蟲). 서부충(鼠婦蟲). 감병(疳病)이 오래 낫지 않고 뱃속에 충이 생긴 것. 몸이 누렇게 여위고 설사가 멎지 않음. 심하면 등과 목덜미에서 충이 나옴. 대개 머리털이나 말꼬리 같고 황백색인 충은 낫기 쉽고, 청색충은 낫기 어려움.
질병처방 남엽즙(藍葉汁)[4]
고창(蠱脹)
계통 창만(脹滿)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복창대(腹脹大). 습열적체(濕熱積滯), 내상어혈(內傷瘀血) 혹은 삼충(三蟲)으로 인해 비위가 허약해져 운화기능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양기(陽氣)가 사기에 저해되어 몸을 두루 돌지 못하고 복부에 머물러서 발생함. 복부가 크게 불러오고, 팔다리에는 부종이 심하지 않고, 식욕은 있고, 흙이나 소금 같은 것을 먹으려 함. 고창(鼓脹)은 맥이 부(浮)하고 손으로 누르면 그냥 있는데, 이 증은 맥이 실(實)하고 누르면 손을 따라 올라오는 것이 다름.
질병처방 견우자(牽牛子)[6]
계시례음(鷄矢醴飮)
사향산(四香散)
소고탕(消蠱湯)
소창음자(消脹飮子)
하마(蝦蟆)[2]
구충병(九蟲病)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9종의 충병을 통틀어 한 말. 즉 복충병, 회충병, 백충병, 육충병, 폐충병, 위충병, 적충병, 요충병, 약충병 등임. 임상에서는 회충병, 백충병, 요충병이 흔히 있음.
질병처방 관중환(貫衆丸)
달벽(疸癖)
계통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기편식(嗜偏食). 충적(蟲積)으로 생기면 생쌀, 다엽, 흙, 숯을 먹음. 위한(胃寒)으로 생기면 매운 음식을 먹기 좋아함.
질병처방 사보단(四寶丹)[1]
사보단(四寶丹)[2]
사보단(四寶丹)[3]
사보단(四寶丹)[4]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1]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복시(伏尸)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복시충(伏尸蟲). 시병(尸病)의 하나. 사람의 오장 중에 숨어 있고, 여러 해가 지나도 없어지지 않음.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백경구인(白頸蚯蚓)[1]
천문동(天門冬)[4]
삼시충(三尸蟲)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인체내 기생충. "인체 내에 삼시(三尸)가 있고 여러 충과 함께 산다. 귀신과 잘 통하고 외사(外邪)를 끌어들여 병을 만든다. 그 종류는 12가지이고 비시(飛尸)도 이 종류다."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거삼시충원(去三尸蟲元)
거삼시충일방(去三尸蟲一方)
관중(貫衆)
관중환(貫衆丸)
뇌환(雷丸)
도엽(桃葉)[1]
천문동(天門冬)[4]
황정(黃精)[2]
삼충병(三蟲病)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3종의 기생충병. 장충병, 적충병, 요충병 등임.
질병처방 건칠(乾漆)[1]
무이(蕪荑)
비실(榧實)
호분(胡粉)[1]
소아감충(小兒疳蟲)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식충(蝕蟲). 소어충(小魚蟲). 서부충(鼠婦蟲). 감질(疳疾)의 하나. 감질이 오랫동안 낫지 않아 뱃속에 충(蟲)이 생겨서 발생함. 몸이 누렇게 야위고, 설사가 멎지 않음.
질병처방 사군자(使君子)[2]
채소독(菜蔬毒)
계통 해독(解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채소를 먹고 걸린 독. 즉, 채소에 붙은 기생충으로 생긴 독.
질병처방 해채소독일방(解菜蔬毒一方)[1]
해채소독일방(解菜蔬毒一方)[2]
촌백충병(寸白蟲病)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백충병(白蟲病). 기생충병. 촌충에 감염된 쇠고기, 돼지고기를 날로 먹어 발생함. 복부에 은은한 통증이 있고, 배가 불어나며, 설사함. 오래되면 얼굴이 누렇게 되고 현기증, 불면증이 있음. 대변에 충이 조각을 이뤄서 나옴.
질병처방 관중(貫衆)
낭아(狼牙)[1]
뇌환(雷丸)
무이(蕪荑)
벽금산(碧金散)
비실(榧實)
사군자(使君子)[2]
석류동인근피(石榴東引根皮)
앵도동행근(櫻桃東行根)
치촌백충방(治寸白蟲方)[1]
치촌백충방(治寸白蟲方)[2]
호분(胡粉)[1]
충심통(蟲心痛)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비기(脾氣)의 허약, 감미(甘味)의 과식, 기생충으로 생긴 심통. 통증이 났다가 멎었다가 하고, 먹고 나면 곧 아프고, 아프고 난 뒤라야 음식을 먹을 수 있음. 딸꾹질이 나며, 침이나 멀건 물을 게으고, 얼굴이 누렇고, 얼굴에 누렇거나 흰 반점이 나타나고, 입술은 붉음.
질병처방 만리어(鰻鱺魚)[3]
생지황(生地黃)[3]
안충산(安蟲散)[2]
안충환(安蟲丸)
웅담(熊膽)[3]
충적(蟲積)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적(積)의 하나. 복강 내에 기생충이 쌓여 생긴 병. 어린이에게 많음. 조잡(?雜)과 복통이 있고, 얼굴이 누렇고, 몸이 여위거나 배만 불룩하고 덩이가 만져짐. 때때로 복통이 났다가 그쳤다가 함.
질병처방 묘응환(妙應丸)[1]
연년호명단(延年護命丹)
우선단(遇仙丹)[1]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추충환(追蟲丸)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흑연회(黑鉛灰)
황반(黃胖)
계통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식로황(食勞黃). 식로감황(食勞疳黃). 탈력황(脫力黃). 황종(黃腫). 몸은 누렇게 부었으나 눈은 평소와 같으며 황달(黃疸) 같은 증세. 충적(蟲積)이나 식적(食積)으로 생기고 비록 습열(濕熱)이 훈증해 막혔으나 심하지는 않음. 얼굴과 수족이 붓고 나른하며, 때로 머리카락이 꺼칠하고, 쌀·흙·숯을 먹으려 하고, 말이 많으나 정신이 흐릿함.
질병처방 대온중환(大溫中丸)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
황종(黃腫)
계통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황반(黃胖). 식로황(食勞黃). 식로감황(食勞疳黃). 탈력황(脫力黃). 황종(黃腫). 몸은 누렇게 부었으나 눈은 평소와 같으며 황달(黃疸) 같은 증세. 충적(蟲積)이나 식적(食積)으로 생기고 비록 습열(濕熱)이 훈증해 막혔으나 심하지는 않음. 얼굴과 수족이 붓고 나른하며, 때로 머리카락이 꺼칠하고, 쌀·흙·숯을 먹으려 하고, 말이 많으나 정신이 흐릿함.
질병처방 대온중환(大溫中丸)
퇴금환(褪金丸)
회감(蛔疳)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회충으로 생긴 감병(疳病). 어린이가 너무 일찍 밥이나 고기를 먹어 장위에 당분과 기름이 쌓여 회충이 생긴다고 함. 눈썹을 찌푸리며 자주 울고 멀건 침을 흘림. 배가 아파 울 때에 배에 파란 힘줄이 나타나고, 입술이 시퍼렇게 되며, 머리를 흔들고, 이를 갊.
질병처방 노자시(鸕鶿屎)[3]
하충환(下蟲丸)
회궐(蛔厥)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궐증(厥證)의 하나. 회충으로 발작성 복통, 번조(煩躁), 수족궐랭(手足厥冷) 등이 나타나는 증상. 위중(胃中)의 기가 차서 회충이 불안해 하여 일어남. 갑자기 아프다가 멎곤 함. 먹으면 구역질이 나며, 심하면 회충을 토해내고, 때로 오한 발열이 있음.
참고 상한론궐음병(傷寒論厥陰病)
질병처방 무이산(蕪荑散)[1]
오매환(烏梅丸)[1]
화충산(化蟲散)
화충환(化蟲丸)
희끽생미(喜喫生米)
계통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생쌀을 먹기 좋아하는 증. 회충이 있을 때 생쌀이나 흙 같은 것을 먹기 좋아함.
질병처방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