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선염(扁桃腺炎) / 이비인후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편도선염(扁桃腺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단유아(單乳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쌍유아(雙乳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유아(乳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편도선에 생기는 염증이다. 목구멍에 흰 반점이 생겨나며 고열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편도선이 벌겋게 부어 음식물을 넘기기 어렵고 침을 삼키기 곤란하며 호흡에 장애가 오고 말도 못하는 경우가 있다. 열 때문에 두통·수면장애·식욕부진·요통 등이 오며 환부에 통증이 있다. 심하면 귀에까지 통증이 미칠 때도 있다. 대개는 환절기나 과로했을 때 또는 감기에 걸렸을 때 일어난다. 편도선이 붓는 원인은 감기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고, 과로·신경과민·만성피로·체질약화 등으로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감퇴되거나 화가 상충되었을 때에도 잘 붓는다.
·단유아(單乳蛾) : 열이 나면서 한쪽 편도선만 붓는 병이다.
·쌍유아(雙乳蛾) : 양쪽 편도선 모두에 염증이 생겨 붓고 종기가 나타나는데 몹시 아프며 무엇을 삼키거나 입을 열기가 어렵고 열이 나며 침을 흘리는 병이다.
·인두통(咽頭痛) : 목구멍의 통증. 편도선염의 대표적 증상이다.
단유아(單乳蛾)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목 한쪽에 생간 유아(乳蛾). 유아를 볼 것.
질병처방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계내금산(鷄內金散)
담반산(膽礬散)
비급단(備急丹)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용뇌고(龍腦膏)[3]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청룡담(靑龍膽)
취후산(吹喉散)[1]
칠보산(七寶散)
쌍유아(雙乳蛾)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쌍아(雙蛾). 쌍아풍(雙蛾風). 쌍유아(雙乳蛾). 쌍유아풍(雙乳蛾風). 쌍아결후(雙蛾結喉). 목의 양쪽이 붓고 아픈 병증. 폐경(肺經)에 적열(積熱)이 있는 데에 풍사(風邪)를 감수하여 응결(凝結)해 생김. 목의 양쪽 편도체가 벌겋게 붓고 표면에 황백색의 고름 같은 분비물이 있으며 그 모양이 누에고치 같음. 구취, 변비, 설태후니, 연하곤란, 발열, 오한이 있음. 풍열유아(風熱乳蛾), 난유아(爛乳蛾), 허화유아(虛火乳蛾), 석아(石蛾)로 나눔.
질병처방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계내금산(鷄內金散)
담반산(膽礬散)
벽전(壁錢)[1]
비급단(備急丹)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용뇌고(龍腦膏)[3]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청룡담(靑龍膽)
취후산(吹喉散)[1]
칠보산(七寶散)
유아(乳蛾)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아자(蛾子). 후아(喉蛾). 유아(乳鵝). 구개편도가 벌겋게 붓고 아픈 병증. 폐경(肺經)의 적열(積熱)이 풍사(風邪)를 받아 응결되어 생김. 단아(單蛾)와 쌍아(雙蛾)가 있는데 단아가 더 중한 것임. 발병이 급속하고, 작열감이 있으며, 편도의 표면에 황백색 고름과 같은 분비물이 나옴. 음식을 삼키기가 곤란하여 물도 못 넘기고, 구취가 나며, 변비가 생기고, 설태는 후니(厚膩)함. 풍열유아(風熱乳蛾), 풍한유아(風寒乳蛾), 복한유아(伏寒乳蛾), 허화유아(虛火乳蛾), 음허유아(陰虛乳蛾)로 나뉨. 임상에서는 풍열유아, 난유아(爛乳蛾), 허화유아, 석아(石蛾)가 흔히 나타남.
질병처방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치후비생창방(治喉痺生瘡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