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음독(傷寒陰毒) / 상한(傷寒)

 동의보감에서만 "상한음독(傷寒陰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상한음독(傷寒陰毒)
계통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양열(陽熱)이 극도로 항성(亢盛)하면 속에 깊이 잠복해 있다가 체표(體表)에 음한(陰寒)과 비슷한 증이 있고 천지의 악독(惡毒)을 감수하여 음경(陰經)에 들어간 것임. 사지가 싸늘해지고, 토사(吐瀉)하되 구갈(口渴)이 없고, 몸을 구부리고 눕고, 심하면 목이 아프고, 두통이 있고, 땀이 나고, 눈알이 아프고, 눈이 부셔서 밝은 것을 잘 보지 못하고, 얼굴과 손톱이 검푸르고, 손등에 식은땀이 나고, 명치 밑에 단단하게 뭉친 것이 있고, 아랫배가 아프고, 외신(外腎)이 참.
질병처방 감초탕(甘草湯)[2]
백출산(白朮散)[2]
백합(百合)[1]
복양단(復陽丹)
부자산(附子散)[1]
울제법(鬱臍法)[1]
울제법(鬱臍法)[2]
정양산(正陽散)[2]
퇴음산(退陰散)
파음단(破陰丹)
환양산(還陽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