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조(惡阻)
오조(惡阻)
| 계통 | 부인(婦人) / 잡병편(雜病篇) | 
| 원인과 증상 | 조병(阻病). 자병(子病). 오식(惡食). 택식(擇食). 입덧. 임신 초기의 오심, 구토를 주증으로 하는 병증. 임신후 충맥(衝脈)의 기가 역상(逆上)해 위기(胃氣)가 내려가지 못해 생김. 임신 3개월이면 대개 낫고, 때로 더 지속되기도 함. 음식 냄새가 싫고 미식거리며 토하고, 심하면 담즙까지 토함. 흉복창만(胸腹脹滿)이 있고, 정신적으로 침울함. 위약오조(胃弱惡阻), 위열오조(胃熱惡阻), 위한오조(胃寒惡阻), 담체오조(痰滯惡阻), 간열오조(肝熱惡阻) 등으로 나눔. | 
| 질병처방 | 귀원산(歸元散)[2] | 
| 금련반하탕(芩連半夏湯) | |
|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2] | |
| 백출산(白朮散)[3] | |
| 보생탕(保生湯) | |
| 삼귤산(蔘橘散) | |
| 이진탕(二陳湯)[2] | |
| 죽여탕(竹茹湯) | |
| 치임신오조일방(治妊娠惡阻一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