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롱(久聾) / 귀(耳)

 익생양술에서 "이롱·난청(耳聾·難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롱(久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이롱이란 소리를 듣지 못하는 병증이고, 난청은 청력(聽力)이 저하되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병증이다. 다만 동의 고전에는 귀가 먹어서 들을 수 없는 것을 이롱무문(耳聾無聞),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난청을 이롱이라고도 하였다. 이롱 및 난청의 원인은 다양하여 귀를 후비거나 사고로 귀를 다친 경우, 고열이나 홍역·성홍열 등의 합병증으로 중이염이 생겨 속귀(內耳)까지 장애가 발생하여 심한 난청이 되는 경우, 태어날 때부터 들리지 않거나 듣기가 어려운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전음성난청(傳音性難聽) : 바깥귀에서 가운뎃귀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그 장애가 바깥귀에서 가운뎃귀까지가 고작이어서 증상이 비교적 가볍거나 중간 정도이므로 거의 알아차리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감음성난청(感音性難聽) : 속귀에서 뇌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이다. 특히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날 때부터 귀가 들리지 않거나 듣기 어려운 경우이다.
구롱(久聾)
계통 귀(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오랜 난청. 인체의 정명(精明)한 기의 대부분이 이규(耳竅)를 지나 청각이 생기므로, 이 중에서 한 경락이라도 허실(虛失)이나 실조(失調)가 발생하면 청각장애가 일어남. 귀가 잘 안 들리고 몸이 약하면 정기(精氣)가 부족한 것으로서 허증(虛證)이고, 몸이 건장한데 잘 들리지 않으면 정기가 폐색(閉塞)된 것임. 또 큰소리나 경기(驚氣)를 감촉하여 간담(肝膽)이 응할 때 담맥(膽脈)이 귀를 얽매면 그 풍화(風火)가 진동해 이규를 막음. 또 심신(心腎)이 허하면 간화(肝火)가 항역(亢逆)해 내풍(內風)이 생겨 이규를 덮어서 발생함. 두현목훈(頭眩目暈), 요슬산연(腰膝痠軟), 이명(耳鳴)이 따름.
참고 의방유취(醫方類聚)
질병처방 감수(甘遂)[1]
귀뇨(龜尿)[1]
서담(鼠膽)
여생지(驢生脂)
자석(磁石)[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