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후비(急喉痺) / 인후(咽喉)

 익생양술에서 "인두염(咽頭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급후비(急喉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인두(咽頭)는 식도 및 후두(喉頭)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근육성 기관으로서, 아래쪽은 식도로 이어지고 위쪽은 후두·구강·비강 및 이관(耳管)으로 이어져 있다. 여기에 생긴 염증을 인두염이라 한다. 인두의 점막이 붓고 헐어 목이 쉬는 병증인데, 연하통(嚥下痛)·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급후비(急喉痺)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졸후비(卒喉痺). 급후폐(急喉閉). 갑자기 목이 쉬는 인후병의 통칭. 폐위(肺胃)에 열이 잠복해 있는 데에 사독(邪毒)이 침입하거나, 풍담(風痰)이 위로 치밀어 올라 생김.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며, 가슴이 울렁거리고 호흡이 가쁘며, 음식을 삼키기가 곤란하고, 가래가 끓고, 목이 쉬며, 얼굴이 벌개지고, 입술이 홍색(紅色)이 되며, 머리가 아프고, 몸이 쑤시며, 심하면 구금(口禁)하고. 맥은 홍대(洪大)함. 원인에 따라 풍열후비(風熱喉痺), 상한후비(傷寒喉痺), 풍한후비(風寒喉痺), 음독후비(陰毒喉痺), 기옹후비(氣壅喉痺), 허화후비(虛火喉痺), 내상후비(內傷喉痺), 외감후비(外感喉痺), 한복후비, 양허후비(陽虛喉痺), 주독후비(酒毒喉痺), 풍독후비(風毒喉痺), 비상후비로 나누고, 증상에 따라 나누기도 함.
질병처방 옥약시(玉鑰匙)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이선산(二仙散)[1]
일자산(一字散)[1]
탈명산(奪命散)[1]
파두연(巴豆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