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증(無力症) / 기타 질환

 익생양술에서 "무력증(無力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수연(手軟)"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양각위연(兩脚痿軟)"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육맥허약(六脈虛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체력이 전신 또는 부분적으로 결핍·상실되는 증세로, 맥이 빠지고 허탈해진다. 오래 앓았거나 늙고 쇠약한 상태가 아닌데도 정신적으로 과민하고 섬약하여 의욕이나 역량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기와 혈이 함께 부족해 근맥을 자양하지 못해 생긴 위증(痿證). 팔다리의 근육이 여위고 연약해지는 등 위증 증상과 함께 얼굴에 핏기가 없고 입맛도 잃고 권태 무력해짐.
질병처방 대조환(大造丸)
입문대조환(入門大造丸)
수연(手軟)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오연(五軟)의 하나. 손에 힘이 없는 증. 비위(脾胃), 간신(肝腎)이 허해 양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근골(筋骨)이 강하지 못해 일어남. 손을 아래로 늘어뜨리고 물건을 잡거나 움직이지 못함.
질병처방 의이환(薏苡丸)
양각위연(兩脚痿軟)
계통 족(足)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위궐(痿厥). 반신마비(反身麻痺). 양각마비(兩脚麻痺). 양다리의 근육이 마비되어 힘을 못 쓰는 증. 간신휴손(肝腎虧損), 기혈부족에 풍한(風寒), 습열(濕熱), 담어(痰瘀) 등이 경락을 침습해 일어남. 두 다리의 근육이 이완되어 힘이 없고 곁에서 지탱해 주어야 함. 편고, 반신불수 참조.
참고 소문음양별론(素問陰陽別論)
질병처방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오수삼궤환(五獸三匱丸)
청조탕(淸燥湯)
육맥허약(六脈虛弱)
계통 맥(脈)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양 손의 촌(寸)·관(關)·척(尺) 삼부맥이 허(虛)하고 약한 것.
질병처방 복신탕(茯神湯)[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