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임파선(림프선)에 병원균·독소가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병이다. 림프선염·림프절염이라고도 한다. 목이나 겨드랑이·팔꿈치·허벅다리 안쪽 등의 임파선에 발생하기 쉬우며, 화농(化膿)되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이 있다. 딱딱하던 종기가 말랑말랑해지면서 발열과 함께 통증이 있고 때로는 두통·식욕부진 등이 따른다.
·임파액(림프액) : 우리 몸의 조직 사이를 채우고 있는 무색의 액체. 혈관과 조직을 연결하며, 면역 항체를 수송하고, 장에서는 지방을 흡수·운반한다. 세균의 침입을 막고 몸의 표면을 보호해 준다.
·임파관(림프관) : 림프가 흐르는 관(管). 구조는 대체로 정맥과 비슷하며, 정맥과 같은 방향으로 흐른다.
·임파선(림프샘·림프절) : 림프관의 곳곳에 있는 공 모양 또는 콩 모양의 부푼 곳.

계통 |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풍열독(風熱毒)으로 기가 몰려서, 또는 습담(濕痰)이 몰려 맺혀 목, 귀 뒤, 겨드랑이 등의 기육에 멍울이 생겨 딴딴하나 아프지는 않음. 초기에는 오한 발열이 따름. 담핵(痰核), 풍핵(風核), 화울결핵(火鬱結核), 풍열결핵(風熱結核) 등으로 나뉨. |
참고 | 천금요방(千金要方) |
질병처방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1] | |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2] | |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4] | |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5] | |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
하고초산(夏枯草散)[3] | |
호박산(琥珀散)[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