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혈(便血)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변혈(便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결음변혈(結陰便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변혈(便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선대변후하혈(先大便後下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하혈(下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혈설(血泄)"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대변과 함께 피가 항문으로 나오는 병증이다. 피가 대변에 묻거나 섞여 나오는 것 또는 순전히 피만 나오는 것 등이 있다. 피가 나오는 부위가 항문에서 먼 곳인 식도나 위 등에서 나오는 것을 원혈(遠血)이라 하고, 항문이나 항문 가까운 곳에서 나오는 것은 근혈(近血)이라 한다. 또한 대변을 보기 전에 새빨간 피가 먼저 나오는 것을 장풍(腸風)이라 하고, 대변을 본 후에 거무스름한 피가 나오는 것을 장독(臟毒)이라 한다. 장풍은 결핵성치질이 원인이 된다. 이 밖에 혈변을 설사하는 것은 혈리(血痢), 피고름을 설사하는 것은 농혈리(膿血痢)라 하였다. 일반적으로 원혈 때는 정상적인 대변에 뒤이어 검은 대변이나 검은 피가 나오는데 피가 멎은 다음에야 정상적인 대변을 본다. 근혈 때는 대변을 누기 전이나 후에 새빨간 피가 나오는데 피만 따로 나오기도 하고 피가 대변에 섞이지 않고 겉에 묻어 나오기도 한다. 변혈은 위장관 및 담도 계통의 출혈과 항문 출혈이 포괄된다고 본다. 특히 치질이나 탈항에 의한 변혈은 선홍색이고, 대장 질환에 의한 변혈은 검은색을 많이 띠고 있다.
결음변혈(結陰便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사기가 음경(陰經)에 맺혀 생긴 변혈. 풍랭사(風冷邪)가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과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에 몰리면 양기가 통섭 운행되지 않고 오랫동안 장간으로 피가 스며들었다가 하혈(下血)함.
참고 소문음양별론(素問陰陽別論)
질병처방 결음단(結陰丹)
지유(地楡)[1]
변혈(便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혈변(血便). 항문출혈. 장위(腸胃)가 화열(火熱)을 감수해 훈증되거나, 한열조습사(寒熱燥濕邪)로 그 기(氣)가 끓어오르거나, 또는 음식에 절제가 없거나 힘을 과도하게 써서 음락(陰絡)이 손상되어 혈이 손상된 부위에서 막혀 경맥 밖으로 새어 대소장에 스며들었다가 외부로 배출됨. 항문에서의 거리에 따라 근혈(近血)과 원혈(遠血)로 분류됨. 또 변을 보기 전에 선혈이 나오면 장풍(腸風)이고, 변을 본 다음에 검붉은 피가 나오면 장독(臟毒)임. 피의 색이 아주 붉고 맑으면 풍(風) 때문이고, 어둡고 선지 같으면 습(濕) 떄문이고, 붉고 선명하면 열(熱) 때문이고, 조박(糟粕)이 섞이면 식적(食積) 때문이고, 힘이 들 때 나오면 원기내상(元氣內傷) 떄문이고, 후중변감(後重便減)하면 습독옹체(濕毒壅滯) 떄문이고, 후중변증(後重便增)하면 비원하함(脾元下陷) 때문임.
질병처방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고영산(固榮散)
괴화산(槐花散)[1]
궁궁(芎藭)[1]
난발회(亂髮灰)[1]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2]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생지황(生地黃)[1]
애엽(艾葉)[1]
연각환(連殼丸)
유사탕(楡砂湯)
자완탕(紫菀湯)[1]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1]
지유산(地楡散)[1]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청장탕(淸臟湯)
측백엽(側柏葉)[1]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혈여산(血餘散)
후박전(厚朴煎)
선대변후하혈(先大便後下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원혈(遠血). 변혈(便血)의 하나. 위경(胃經)의 혈이 함부로 넘쳐서 대변 후 피가 나오거나, 대변에 섞여 나오는 것.
질병처방 황토탕(黃土湯)
하혈(下血)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변혈(便血).
질병처방 괴화(槐花)[1]
괴화산(槐花散)[1]
기각탕(枳殼湯)
소교애탕(小膠艾湯)
안태산(安胎散)[1]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측백산(側柏散)
후박전(厚朴煎)
혈설(血泄)
계통 유행병(流行病)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변혈(便血)을 말함.
질병처방 맥문동탕(麥門冬湯)[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