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구설(口舌) / 외형편(外形篇) |
원인과 증상 | 홍점설(紅点舌). 좌설풍(坐舌風). 혀에 생긴 헌데. 화(火)가 치성(熾盛)하여 생김. 또 하원(下元)이 허한(虛寒)하여 허화가 상염(上炎)해 생김. 심열(心熱)이나 태독(胎毒)으로 생기면 혓바닥이 헐고 갈라지면서 붓고 때로 피가 나며 아프고, 구취가 나고, 변비가 생기고, 맥은 실(實)하고 힘이 있음. 허화가 치밀면 오랫동안 낫지 않고 터져 구멍이 나며, 전신이 노곤하고 무력하며, 맥이 허(虛)·대(大)함. 상성하허(上盛下虛)면 요슬산연(腰膝酸軟), 소변빈삭(小便頻數)이 따름. |
참고 | 외대비요(外臺秘要) |
질병처방 | 박하밀(薄荷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