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熱瀉) / 대변(大便)

 익생양술에서 "위장염(胃腸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사(熱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위와 장에 생기는 염증이다. 위염과 장염은 독립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 동시에 발생하여 하나의 질병 상태를 나타낸다. 식중독, 약물중독, 전염병의 일부, 특히 음식물에 섞여 들어간 대장균·장티푸스균·이질균·콜레라균·인플루엔자균 등은 물론 폭식, 폭음, 불결한 음료수까지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위장염 : 느닷없이 설사·구토·구역질이 나고 뱃속에서 물소리가 나며 열이 나고 탈수 현상도 있다. 대변에 점액이나 피가 섞이기도 하고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만성위장염 : 급성장염이 반복되면 나타나기도 하지만, 만성 소화장애나 문맥울혈(門脈鬱血), 심장·신장 질환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복부팽만감·불쾌감이 따르며 설사는 없지만 대변에 점액이 섞여 나온다.
열사(熱瀉)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열설(熱泄). 화설(火泄). 화사(火瀉). 열사가 장위에 침범해 생긴 설사. (1) 황적색 변을 보고, 항문에 작통(灼痛)이 있고, 입안이 마르고 번갈(煩渴)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음. (2) 맥이 삭(數)·질(疾)하거나 홍대(洪大)하고, 입안이 건조하며, 갑작스럽게 설사함. (3) 몸에 열이 나고, 소변이 껄끄럽고, 구갈(口渴)이 나고, 후중(後重)이 심하고, 배가 아픈 후에 설사하고, 설사후에도 막힌 감을 느낌.
참고 병인맥치(病因脈治)
질병처방 차전초(車前草)[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