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出血) / 기타 질환

 익생양술에서 "출혈(出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규출혈(九竅出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망혈(亡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실혈(失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탈혈(脫血)"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혈일(血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출혈은 피가 혈관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나오는 병적인 출혈 증상을 말한다. 실혈(失血)·탈혈(脫血)·망혈(亡血)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운다. 피가 나오는 곳에 따라 각혈·기뉵·변혈·요혈·육혈·토혈·하혈·해혈 등이 있다.
·각혈(咯血) : 폐병 따위로 폐·기관지 점막 등에서 피를 토하는 출혈이다. 객혈. 폐출혈.
·기뉵(肌衄) : 땀구멍으로 피가 나오는 출혈을 말한다.
·변혈(便血) : 대변과 함께 피가 항문으로 나오는 병증이다.
·요혈(尿血) :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병증이다. 혈뇨(血尿).
·육혈(衄血) : 좁은 의미에서는 코피를 육혈이라 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외상을 당한 일이 없이 몸 겉으로 피가 나오는 출혈을 뜻한다.
·토혈(吐血) : 위·식도 등의 질환으로 인하여 피를 토하는 출혈. 상혈(上血). 타혈(唾血). 구혈(嘔血).
·하혈(下血) : 항문 또는 하문(下門)으로 피를 쏟는 출혈이다.
·해혈(咳血) : 기침을 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이다. 흔히 폐결핵으로 생긴다.
구규출혈(九竅出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머리에 있는 7개의 양규(陽竅)와 아래에 있는 2개의 음규(陰竅) 즉 눈, 코, 입, 귀, 전음, 후음에서 동시에 출혈하는 것. 약물중독, 질박손상(跌撲損傷), 또는 폭로(暴怒), 대경(大驚) 등으로, 혹은 간신허극(肝腎虛極)으로 혈이 경맥을 벗어나 일어남.
참고 난경37난(難經三十七難)
질병처방 난발회(亂髮灰)[1]
정화수(井華水)[1]
망혈(亡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1) 토혈, 비혈, 요혈, 변혈, 붕루, 타혈, 외상 등 실혈을 통틀어 한 말. (2) 출혈에 의한 빈혈 상태. 촌구맥(寸口脈)이 현(弦)·대(大)함. 부인은 반산(半産), 누하(漏下) 등의 증상이 있음. 남자는 망혈실정(亡血失精)함. 혈증(血證)을 볼 것.
참고 금궤중풍역절병(金{궤}中風歷節病)
질병처방 삼재환(三才丸)
실혈(失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피가 경맥 밖을 망행(妄行)하는 것. 비기허약(脾氣虛弱)으로 혈의 통섭기능이 장애되거나 화열(火熱), 허한(虛寒), 외상(外傷), 어조(瘀阻) 등으로 일어남. 피가 나오는 곳에 따라 육혈(衄血), 기뉵(肌衄), 해혈(咳血), 토혈(吐血), 구혈(嘔血), 하혈(下血), 요혈(尿血), 변혈(便血) 등으로 분류됨.
질병처방 당귀(當歸)[1]
백초상(白草霜)[1]
보영탕(補榮湯)
사물탕(四物湯)
생우즙(生藕汁)[1]
송연묵(松烟墨)
십회환(十灰丸)
오회산(五灰散)
탈혈(脫血)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혈탈(血脫). 대출혈로 허탈에 빠진 것. 또는 만성출혈 환자가 몹시 여위고 맥상이 허한 증상. 선천적으로 약한데 후천적으로도 실조(失調)하여 여위거나 사려, 성교, 노력, 술이나 음식 등으로 진음(眞陰)이 모상(耗傷)되고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혈을 통섭(統攝)하지 못하여 일어남. 얼굴이 희고 윤기가 없으며 때로 오심, 구토가 있음. 혈색(血色)이 선명하지 않고 자주색이거나 검으며 심하면 토혈(吐血), 육혈(衄血), 요혈(尿血), 변혈(便血) 등으로 실혈하고 육맥(六脈)이 모두 현세(弦細)하며 삭(數)하고 꽉 짚으면 공허함. 비록 음식을 먹을 수 있고 권태하지 않아도 갑자기 그게 탈혈이 되면 죽음.
참고 소문평인기상론(素問平人氣象論)
질병처방 삼재환(三才丸)
혈일(血溢)
계통 유행병(流行病)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심화치성(心火熾盛)으로 피가 기를 따라 망행(妄行)해 위로 올라와 귀, 눈, 코, 입으로 계속 넘쳐 나오는 것.
참고 영추사기장부병형편(靈樞邪氣臟腑病形篇)
질병처방 맥문동탕(麥門冬湯)[1]
비화탕(備化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