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음(失音) / 신경계 계통

 익생양술에서 "실음(失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감한실음(感寒失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경풍성아(驚風聲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수실음(久嗽失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두후실음(痘後失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불어(不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성시(聲嘶)"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성아(聲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실음(失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어성불출(語聲不出)"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담실음(熱痰失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중풍불어(中風不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중풍설음(中風舌瘖)"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중풍실음(中風失音)"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풍한졸아(風寒卒牙)"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성대(聲帶)에 이상이 생겨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목이 가라앉은 상태이다. 즉 목소리가 쉬어 듣는 사람이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소리가 나오는 경우이다. 성대(목청)는 후두(喉頭)의 중앙에 있는 소리를 내는 기관으로, 좌우 한 쌍이며 점막의 주름으로 되어 있다. 숨을 쉴 때마다 열려 공기가 잘 유통하도록 하며, 소리를 낼 때에는 좌우의 목청이 접근하여 좁아져 허파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의하여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 목청이 짧고 긴장이 심하면 음성이 높고, 긴장이 약하면 음성이 낮다. 가볍게 목이 쉰 것은 하루나 이틀 또는 며칠 지나면 낫지만, 심한 경우에는 치료를 해야 한다.
·실음불어(失音不語) : 목이 쉬거나 소리가 나오지 않아 말을 하지 못하는 증상.
·성시(聲嘶) : 창병·후두 등의 병 때문에 목소리가 쉬는 증세. 다만, 동의보감에 성시는 울대가 상한 것이지 인두병은 아니며, 큰 소리를 지르거나 노래를 지나치게 부르거나 오랫동안 기침을 할 때 생긴다 하였다.
감한실음(感寒失音)
계통 성음(聲音)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상한(傷寒) 때의 기침으로 목이 쉬어 말이 안 나옴.
질병처방 계심(桂心)[1]
경풍성아(驚風聲啞)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경풍으로 목이 쉬거나 말을 못하는 것.
질병처방 천남성(天南星)[3]
구수실음(久嗽失音)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오래된 기침 끝에 목이 쉬어 소리가 잘 나오지 않음.
질병처방 동자뇨(童子尿)[2]
인뇨(人尿)[4]
합개환(蛤蚧丸)
두후실음(痘後失音)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두창을 앓은 뒤 목이 붓고 아프며 마르고 깔깔해 소리가 안 나오는 것. 두창의 화독이 폐를 훈증하여 독기가 인후에 맺히고 담이 막히거나, 심중(心中)의 사열이 흩어지지 않고 신(腎)이 허해서 심양(心陽)과 닿지 않아 일어남.
질병처방 천화산(天花散)[3]
불어(不語)
계통 풍(風)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말을 못하는 것. 중풍불어(中風不語), 산후실어(産後失語), 임신불어(姙娠不語), 음비(陰痺) 등에서 나타남.
참고 소문기병론(素問奇病論)
질병처방 양영탕(養榮湯)
성시(聲嘶)
계통 성음(聲音)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1) 실음(失音). (2) 목이 쉬는 증. 큰 소리를 지르거나 노래를 지나치게 부를 때, 또는 장기간 기침을 해서 생김.
질병처방 밀지전(蜜脂煎)
윤폐환(潤肺丸)[1]
성아(聲啞)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목이 쉬거나 말을 못하는 것.
질병처방 요량환(嘹喨丸)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실음(失音)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목이 쉬거나 말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것. 폐경(肺經)의 병임. 실증(實證)은 갑작스런 병으로 사기(邪氣)가 막혀 기역(氣逆)이 되어 생김. 허증(虛證)은 오랜 병으로 진액과 혈이 말라서 발생함. 후음(喉瘖)과 설음(舌瘖)으로 구별됨. 후음은 목의 이상, 즉 옹종(癰腫)의 미란으로 인두가 손상되어 일어남. 설음은 혀의 이상, 즉 설축(舌縮)과 구금불개(口噤不開)로 일어남. 또 살진 사람은 담습(痰濕)이 막아 기도(氣道)가 통하지 않아서 발생함.
질병처방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가자산(訶子散)[1]
가자청음탕(訶子淸音湯)
길경탕(桔梗湯)[2]
밀지전(蜜脂煎)
발성산(發聲散)[1]
옥분환(玉粉丸)[1]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
통애산(通隘散)
행인전(杏仁煎)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어성불출(語聲不出)
계통 인후(咽喉)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언어불출(言語不出).
질병처방 형개탕(荊芥湯)[2]
열담실음(熱痰失音)
계통 성음(聲音)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열담으로 일어난 실음.
질병처방 궁신산(芎辛散)
중풍불어(中風不語)
계통 풍(風)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중풍 때 사기(邪氣)가 설본(舌本)에 들어가 혀를 움직이지 못하여 말을 못하는 증.
질병처방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박하(薄荷)[5]
법제반하(法製半夏)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2]
이(梨)[2]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전설고(轉舌膏)
흑두(黑豆)[6]
중풍설음(中風舌瘖)
계통 풍(風)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중풍실음(中風失音). 중풍불어(中風不語). 중풍 때에 사기(邪氣)가 설본(舌本)에 들어가 혀가 뻣뻣해 말을 못하는 증.
질병처방 지황음자(地黃飮子)
중풍실음(中風失音)
계통 성음(聲音)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중풍불어(中風不語). 중풍설음(中風舌瘖). 중풍으로 말이 마음대로 안 나오는 증. 갑자기 일어나면 실증(實證)이 많고, 주로 폐신(肺腎)과 관계가 깊음. 인후의 이상 즉 옹종(癰腫)·미란으로 손상되어 생기는 후음(喉瘖)과, 혀의 이상 즉 설본·구금(口禁)으로 생기는 설음으로 나뉨.
질병처방 이(梨)[1]
풍한졸아(風寒卒牙)
계통 성음(聲音)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풍한후비(風寒喉痺). 풍한으로 생긴 실음(失音). 풍한사가 폐에 침입해서 한기(寒氣)가 목젖에 맺혀 일어남. 겨울에 기침을 하면 한담(寒痰)이 목에 맺혀 갑자기 말이 안 나옴.
질병처방 사간탕(射干湯)[1]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1]
형소탕(荊蘇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