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통(寒腹痛) / 배(腹)

 익생양술에서 "소화불량(消化不良)"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한복통(寒腹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과음 과식, 부패물 섭취, 감염증, 피로 등에 의해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소화가 안 되어 헛배가 부르고 트림이 나고 메스꺼우며 식욕부진·복통·구토·설사 등의 증상이 뒤따른다.
·식상(食傷) : 먹은 음식이 소화가 안 되고 복통과 토사 등의 급성병변을 일으키는 증상.
·손설(飧泄) : 소화력이 약해서 먹는 대로 설사를 하는 병증. 젖을 뗀 후의 유아에게 많이 나타난다.
한복통(寒腹痛)
계통 배(腹)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한랭복통(寒冷腹痛). 감한복통(感寒腹痛).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하거나, 또는 한사(寒邪)를 감수해 생김. 배가 계속 조금씩 아프고 증감이 없으나 차게 하거나 찬 음식을 먹으면 더하며, 덥게 하거나 손으로 누르면 완화됨. 소변이 잦고 맑으며, 대변은 묽거나 설사하고, 설태는 얇고 희며, 맥은 침(沈)·지(遲)함.
질병처방 계향산(桂香散)[2]
옥포두법(玉抱肚法)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