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음(痰飮)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담음(痰飮)"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담음(痰飮)"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담음유주(痰飮流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장(腸)·위(胃)에 물체가 있어 출렁출렁 소리가 나며 가슴이 답답한 병. 상복부와 명치 부위가 답답하고 둔통이 있으며 식후에 소화가 안 되고 옆으로 누우면 물 소리가 나면서 음식이 아래로 내려가는 듯하고 운동이나 조깅을 할 때면 뱃속에서 물이 출렁거리는 느낌이 나는 경우이다. 이는 소화 기관의 기능이 떨어지는 증상으로서, 한방에서는 기혈의 순환과 수분 대사의 이상을 원인으로 본다. 담음이 있을 때는 식사량이 줄어도 몸무게는 크게 변치 않는다는 것과 대변이 가늘고 마치 진흙처럼 끈끈하게 나오는 것이 특징이며, 잘 소화되지 않은 찌꺼기들이 모여 장과 위가 단단한 느낌을 주게 된다. 대개는 위확장이 원인이다.
담음(痰飮)
계통 하(下)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넓게는, 체내에서 수액이 순환되지 않고 한 부위에 머물러 생기는 병증. 탁하고 끈끈한 게 담(痰)이고, 묽고 멀건 게 음(飮)임. 풍한습열(風寒濕熱)이 성하여 진액이 폐(肺)·비(脾)·신(腎)의 기능장애로 담(痰)으로 바뀜. 끈끈한 즙이 되어 뱉으면 나오거나, 흉격에 엉겨붙고, 혹은 장위에 머물거나, 경락이나 사지에 있다가 기를 따라 승강하여 온 몸을 상하로 안 가는 데가 없음. 기침, 구역, 오심, 구토, 비격옹색, 현훈, 조잡, 정충, 전광, 한열, 통종(痛腫) 등이 따름. (2) 담(痰)에 속하는 음(飮). 유음(流飮). 좁게는, 위장에 수음(水飮)이 몰린 것. 음사(飮邪)가 비위(脾胃)에 머물러 발생함. 살진 사람이 갑자기 수척해지고, 흉협이 그득하고, 장간(腸間)에서 물소리가 나고, 심하(心下)가 아주 차고, 멀건 침을 게우며,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기천(氣喘)이 있고, 식욕이 없음. 담음이 사지에 유입되면 어깨와 등이 시리고 아프며, 두 손이 저림. 담은 풍담(風痰), 한담(寒痰), 습담(濕痰), 열담(熱痰), 조담(燥痰)으로 나눔. 음은 유음(留飮), 벽음(癖飮), 현음(懸飮), 담음(痰飮), 일음(溢飮), 지음(支飮), 복음(伏飮) 등으로 나눔.
질병처방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견음기실환(蠲飮枳實丸)
궁하탕(芎夏湯)
대반하탕(大半夏湯)
산치자산(山梔子散)
선복화(旋覆花)[2]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신선추담원(神仙墜痰元)
신출환(神朮丸)
영계출감탕(苓桂朮甘湯)[2]
육군자탕(六君子湯)
이진탕(二陳湯)[1]
적담환(敵痰丸)
죽력기출환(竹瀝枳朮丸)
창출(蒼朮)[1]
천금지미환(千金指迷丸)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담음유주(痰飮流注)
계통 손(手)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담음주주(痰飮走注). 비(脾)·폐(肺)·삼초(三焦)의 기능장애로 생긴 담음이 여기저기로 옮겨 다니는 것. 가슴·잔등·팔·다리·허리에 참을 수 없는 통증이 있고, 근육과 배가 켕기며 아파서 눕거나 앉아도 불편함.
참고 단계심법(丹溪心法)
질병처방 공연단(控涎丹)
묘응단(妙應丹)[2]
소담복령환(消痰茯苓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