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多汗症) / 기타 질환
익생처방관련 약초
기허자한(氣虛自汗)
누풍(漏風)
다한증(多汗證)
도한(盜汗)
자한(自汗)
허한부지(虛汗不止)
황한(黃汗)
익생원인과 증상
땀의 생리적인 기능은 크게 몸 안의 노폐물을 살갗을 통해 내보내는 노폐물 배설 기능과 그 과정에서 높아진 열을 발산하여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정상적으로 노폐물 배설이나 체온 조절을 위해 흘리는 땀 이외의 과다한 발한(發汗)은 몸의 진액을 지나치게 손상시켜 기와 체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
기허자한(氣虛自汗)
계통 |
진액(津液)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기가 허해 저절로 땀을 흘리는 병증. 폐기(肺氣)와 비기(脾氣) 부족으로 체표(體表)의 위기(衛氣)가 허약해서 생김. 바람이 싫고, 몸이 차고, 피곤하고, 호흡이 밭고, 얼굴이 창백하고,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남. 맥은 미(微)하거나 완(緩)하고 허대(虛大)함. |
질병처방 |
기부탕(耆附湯)
|
누풍(漏風)
계통 |
진액(津液)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주풍(酒風). 음주중풍(飮酒中風). 풍사(風邪)가 주독(酒毒)을 끼고 음기(陰氣)가 흩어져 위기(衛氣)가 약해서 발생함. 음식을 먹으면 곧 옷이 젖을 정도로 땀이 나고 기천(氣喘), 오풍, 구건(口乾), 구갈(口渴) 등이 따름. |
참고 |
소문풍론(素問風論) |
질병처방 |
백출산(白朮散)[1]
|
다한증(多汗證)
계통 |
진액(津液) / 내경편(內景篇) |
원인과 증상 |
한증(汗證). 다한(多汗). 날씨, 운동, 복약(服藥) 등과 상관없이 땀이 많이 나는 병증. 양허(陽虛), 표허(表虛) 또는 습담내증(濕痰內蒸), 음허내열(陰虛內熱)로 일어남. 땀이 나는 부위에 따라 두한(頭汗), 수족한(手足汗), 심한(心汗), 음한(陰汗), 반신한(半身汗)으로 나누고, 상태에 따라 자한(自汗), 도한(盜汗), 탈한(脫汗), 전한(戰汗), 황한(黃汗), 냉한(冷汗), 절한(絶汗), 누한(漏汗)으로 나눔. |
참고 |
소문평인기상론(素問平人氣象論) |
질병처방 |
부소맥(浮小麥)
|
도한(盜汗)
자한(自汗)
허한부지(虛汗不止)
계통 |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식은땀이 그치지 않고 나는 증. 평소에 양허(陽虛)로 위기(衛氣)가 부족해 주리(腠理)가 성근 데에 놀라서 일어남. 열이나 구갈(口渴)이 없고, 정신이 피로하고, 얼굴이 창백하고, 대변이 당설(溏泄)하고, 소변이 청장(淸長)한 등 한증(寒證) 증상이 따름. |
질병처방 |
계부탕(桂附湯)[3]
|
황한(黃汗)
계통 |
황달(黃疸)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땀이 나서 옷이 누렇게 물드는 것. 비열(脾熱)로 땀이 나서 목욕하면 물이 모공으로 들어가서 생김. 누런 땀이 나는데 허리 위에 나고 아래로는 나지 않음. 신열(身熱)이 나고, 오풍(惡風)은 없으며, 구갈(口渴)이 나고, 흉부가 그득하며 답답하고, 허리가 아프고, 종아리가 차고, 얼굴과 온 몸이 부어 무겁고 쑤시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맥은 침(沈)·지(遲)함. |
참고 |
금궤수기병(金{궤}水氣病) |
질병처방 |
계지황기탕(桂枝黃芪湯)
|
|
기진탕(芪蔯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