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질(痢疾)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이질(痢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고주리(蠱疰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금리(口禁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리(久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금구리(噤口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기리(氣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냉리(冷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농혈리(膿血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백리(白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복서(伏暑)"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설리(泄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습리(濕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리(熱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오색리(五色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이질(痢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장벽(腸澼)"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장활(腸滑)"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적리(赤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적백리(赤白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추리(秋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하리(下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학후이질(瘧後痢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한리(寒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허리(虛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혈리(血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휴식리(休息痢)"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법정 전염병의 한 가지이다. 하리(下痢)·적리(赤痢)·이점(痢漸)·이증(痢症) 등 여러 가지 이름이 있으며, 마른 콧물이나 고름처럼 흐들흐들한 곱이 나오는 것이 창자를 씻어 내는 것과 같다 하여 장벽(腸癖·腸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배가 아프고 속이 켕기면서 뒤가 잦고 당기고 무직하며 곱이나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자주 누는 병증이다. 항문이 벌어져서 오므라들지 않고 통증과 함께 고열이 나는 증세를 보인다. 주로 부패한 음식물, 소화되기 어려운 음식물, 불결한 음료수, 익지 않은 과일 등을 먹었을 때 생기며, 폭음·폭식 또는 기생충이나 알레르기 등에 의해서도 생기고, 배가 차가울 때 많이 일어난다. 12시간에서 3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열·설사·복통·혈변 등의 전형적인 이질 증세를 보이거나 설사를 주증세로 보이는 경우도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이질은 설사와는 달라서 농이 나오기도 하고 피가 나오기도 한다. 또 통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도 있다. 공통된 점은 모두가 속이 급하고 뒤가 무겁다는 점이다.
·아메바성이질 : 이질 아메바의 경구(經口) 감염으로 생기는 전염병. 열대·아열대 지방에 많다. 대장 점막에 특유한 궤양이 새기고 점혈변(粘血便)의 설사가 며칠 동안 계속된다. 재발하기 쉽다.
·세균성이질 : 이질균의 경구 감염으로 생기는 급성 전염병. 급작스러운 발열과 복통에 이어 점액·혈액이 섞인 설사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이러스성이질 : 유행성이며 심한 물 설사를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이질.
·금구리(噤口痢) : 이질로 말미암아 입맛이 없어져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병.
·냉리(冷痢) : 한냉습(寒冷濕)으로 혈액 순환의 장애를 일으켜 생긴 이질.
고주리(蠱疰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고독(蠱毒)으로 생긴 이질(痢疾). 오랫동안 광물성 약물을 복용하여 진음(眞陰)이 모상되어 그 혈이 백락경맥(百絡經脈)으로부터 내려가 일어남. 닭의 간(鷄肝)과 같은 피를 내리고, 피곱(膿血)이 섞여 나오며, 검은 피가 나오기도 함. 심번(心煩), 복통이 따름.
참고 의학입문(醫學入門)
질병처방 신효삼향산(神效蔘香散)
영양각원(羚羊角元)
천근환(茜根丸)
구금리(口禁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금구리(禁口痢). 이질 때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하는 병증. 대개 역리(疫痢)나 습열리(濕熱痢) 때 장위(腸胃)의 작열(灼熱)로 진액이 말라서 일어남. 이질의 비교적 위중한 단계로서 특징은 음식을 먹어도 내려가지 않고, 혀가 말라 혀 위에 진액이 전혀 없으며 진홍빛을 띰.
질병처방 오골계(烏骨鷄)
구리(久痢)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천연리(遷延痢). 이질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 비신음(脾腎陰)의 휴손(虧損), 중기(中氣)의 부족으로 발생함. 늘 대변에 피곱이 섞이고, 식욕이 감퇴하고, 배가 은근히 아프고, 이급후중(裏急後重)하고, 변의 배출에 힘이 없고, 심하면 탈항(脫肛)하고, 신체가 수척해지고, 무력함.
질병처방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1]
가자피(訶子皮)[4]
감응원(感應元)
계자(鷄子)[3]
귤피전원(橘皮煎元)
대단하환(大斷下丸)
만전환(萬全丸)
목향산(木香散)[3]
백나복(白蘿蔔)
삼근음(三根飮)
소감원(蘇感元)
실장산(實腸散)[3]
앵속각(罌粟穀)[2]
오매(烏梅)[6]
저근백피(樗根白皮)[2]
저백피산(樗白皮散)
치(雉)
해백(薤白)[1]
화중음(和中飮)
황웅구두골(黃雄狗頭骨)
황자계(黃雌鷄)[3]
금구리(噤口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구금리(口噤痢). 음식을 먹을 수 없는 이질(痢疾). 장위가 작열(灼熱)하여 진액이 말라 혀가 건조하고 목이 깔깔하여 음식이 내려가지 않음. 혀 위에 진액이 전혀 없고, 명치 끝이 그득 차서 구토하거나 음식을 못 먹고, 기육(肌肉)이 수척해지고, 피곱이 섞인 변을 설사하고, 흉완(胸脘)이 비민(痞悶)하고, 혀가 붉고(舌絳), 설태는 황니(黃膩)함.
질병처방 개금탕(開噤湯)
목향도기탕(木香導氣湯)
분저(糞苴)
삼련탕(蔘連湯)
석련산(石蓮散)
신효삼향산(神效蔘香散)
엄제법(쵔臍法)
연자육(蓮子肉)
창름탕(倉廩湯)
해금환(解噤丸)
기리(氣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칠정울결(七情鬱結)로 생긴 이질(痢疾). 실증(實證)은 기체(氣滯)로 생기고, 허증(虛證)은 기허(氣虛)로 중기하함(中氣下陷)해 장이 단단치 못해 생김. 실증이면 변이 점조(粘稠)하고, 이급후중(裏急後重)하고, 대변에 거품이 많고, 고약한 냄새가 나며, 배가 팽팽하게 불어나고, 장명(腸鳴)이 있고, 소변이 잘 통하지 않음. 허증이면 헛배가 부르고, 방귀와 함께 변이 나옴.
질병처방 가자피(訶子皮)[4]
기리환(氣痢丸)
우유탕(牛乳湯)
냉리(冷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한리(寒痢). 한사(寒邪)로 생긴 이질(痢疾). 주로 여름에 날것이나 찬것을 과식해 찬 기운이 속에 잠복해 비(脾)의 양기(陽氣)를 손상시켜 발생함. 장명(腸鳴)이 있고, 아랫배가 조금씩 아프고, 비린내 나는 오리똥 같은 곱똥에 약간의 피가 섞여 나오고, 이급후중(裏急後重)이 있음.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건강(乾薑)[4]
우각새(牛角鰓)[2]
육두구(肉豆蔲)[2]
농혈리(膿血痢)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일반 이질 증상에 피곱똥이 비교적 많은 이질. 적열(積熱)이 대장(大腸)에 몰려 혈이 고름으로 바뀌어 발생함. 상부혈(上部血)이면 흉중(胸中)이 번조(煩躁)하고, 먼저 곱똥이 나온 후 피가 나옴. 중부혈(中部血)이면 맥이 침(沈)하고, 오한이 나고, 혹은 허리와 배꼽 밑이 아픔. 하부혈(下部血)이면 맥이 침하고, 오한이 나고, 먼저 피가 나온 후 곱똥이 나옴.
질병처방 납(蠟)[1]
대황(大黃)[3]
대황탕(大黃湯)[1]
도기탕(導氣湯)
도체탕(導滯湯)
도화탕(桃花湯)
백출안위단(白朮安胃丹)
애엽(艾葉)[3]
인삼산(人蔘散)[1]
입효산(立效散)[4]
작약백피환(芍藥柏皮丸)
작약탕(芍藥湯)[1]
적석지환(赤石脂丸)
지유(地楡)[3]
지유산(地楡散)[1]
지유산(地楡散)[4]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1]
백리(白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백농리(白膿痢). 흰 점액이나 곱이 많이 섞인 변을 보는 이질. (1) 습열(濕熱)이 대장(大腸)의 기분(氣分)에 응체(凝滯)하여 생기면 이급후중(裏急後重)하여 자주 화장실에 가도 변이 나오지 않고 일어서면 뱃속이 또 급하며, 흰 곱똥을 누고, 소변이 적삽(赤澁)함. (2) 한습(寒濕)이 응체하여 생기면 하리(下痢)가 청백(淸白)하고, 손발이 싸늘하고, 복통이 남. (3) 비양(脾陽)이 허한(虛寒)하여 발생하면 처음부터 배가 아프고 후중(後重)하며, 음식을 못 먹고, 소변이 당설(溏泄)함. (4) 노권기(勞倦氣)로 대장을 손상하여 생기면 대변을 본 후 흰 곱똥이 나오거나, 흰 곱똥만 눔.
질병처방 구채(韭菜)
사백안위음(瀉白安胃飮)
수자목향원(水煮木香元)
온육환(溫六丸)
복서(伏暑)
계통 서(暑)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복기온병(伏氣溫病)의 하나. 먼저 독사(毒邪)를 감수했는데 이어 풍한(風寒)에 갇혀 점점 속으로 들어가 삼초(三焦), 장위간(腸胃間)에 잠복해 가을이나 겨울에 발병함. 곽란토사, 또는 이질설사, 복통이 있거나 학질로 한열왕래(寒熱往來)가 있음. 또 번갈(煩渴)하고 열담(熱痰)이 많거나, 안팎으로 열이 나고 번조(煩躁)하며 자한(自汗)이 남. 서독(暑毒)이 깊이 들어가면 헛소리를 하고, 번갈(煩渴)하며, 옷을 벗으려 하고, 대변이 굳고, 소변은 붉고 껄끄러우며, 메스껍고, 하혈(下血)이 있기도 함. 발병 시기에 따라 복서추발(伏暑秋發), 만발(晩發), 복서상한(伏暑傷寒), 동월복서(冬月伏暑) 등이 있음. 또, 사기(邪氣)가 반표반리에 잠복한 것과 영분(營分)에 있는 것의 2종으로 나뉨.
참고 의학입문(醫學入門)
질병처방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소서원(消暑元)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2]
설리(泄痢)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설사와 이질. (2) 이음경(二陰經)이 단단치 못해 일어나는 대소변실금(大小便失禁).
질병처방 가자피(訶子皮)[2]
백출안위단(白朮安胃丹)
신국(神麴)[2]
치설리일방(治泄痢一方)
습리(濕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습으로 생긴 이질. 습열(濕熱)이 비위(脾胃)에 맺혀 장(腸)으로 몰려 발생함. 몸이 무겁고, 배가 그득하고 부르며, 검은콩물이나 팥죽 같은 변이 나옴. 가장 험한 이질임.
질병처방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무기환(戊己丸)
열리(熱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열증(熱證)에 속하는 이질. 대장에 열이 성해 적체(積滯)해서 발생함. 등이 차고, 치아가 마르며, 얼굴에 때가 낀 것 같고, 배가 아프고, 이급후중(裏急後重)이 있고, 피곱똥을 자주 누고, 번갈(煩渴)로 물을 켜고, 소변이 붉고 뜨거우며, 설태는 누런 기름때가 낀 것 같고, 맥은 활삭(滑數)함.
참고 금궤구토애하리병(金{궤}嘔吐噫下利病)
질병처방 대황(大黃)[3]
대황탕(大黃湯)[1]
영위산(寧胃散)
오매환(烏梅丸)[2]
오색리(五色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여러 색의 피곱이 많이 섞인 변을 누는 이질. 실증(實證)과 허증(虛證)으로 나뉨. 실증은 장위(腸胃)에 식적(食積)과 사기(四氣)가 서로 섞이거나, 습열(濕熱)이 지나치게 성해서 일어남. 허증은 오랜 이질로 장부의 기가 이미 손상되고 비신(脾腎)이 함께 허해서 발생함. 실증은 이급후중(裏急後重)이 심하며, 맥은 실(實)하고 유력(有力)함. 허증은 배꼽 아래가 갑자기 아프고,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으며, 설사가 수없이 나고, 맥은 허(虛)하고 무력(無力)함. 만약 신음(腎陰)이 다 없어지면 피곱이 여러 색이고 끈끈하며, 설사가 끝이 없고, 배꼽 아래가 갑자기 아프며, 발열하고, 번갈(煩渴)이 나는 등 병상이 위중해짐.
질병처방 비방양장탕(秘方養臟湯)
사과산(絲瓜散)[1]
신효삼향산(神效蔘香散)
이질(痢疾)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장벽(腸澼). 체하(滯下). 급성장도질환의 하나. 장부의 전화(傳化) 기능이 잘 되지 않아 진액이 내상(內傷)되거나, 또는 습열역독(濕熱疫毒)을 감수해 장안에 적체해 생김. 대변이 잦고 소량이며, 복통과 이급후중(裏急後重)이 따르고, 점액성 변 또는 농혈변이 나옴. 병인에 따라 서리(暑痢), 습리(濕痢), 한리(寒痢), 열리(熱痢)로 구분함. 대변 성상에 따라 적리(赤痢), 백리(白痢), 적백리(赤白痢), 농혈리(膿血痢), 오색리(五色痢)로 나눔. 또 병의 경중, 병정으로 역리(疫痢), 독리(毒痢), 기리(氣痢), 금구리(噤口痢), 휴식리(休息痢), 구리(久痢), 허리(虛痢)로 분류함.
질병처방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2]
가압(家鴨)
구명연년환(救命延年丸)
목향(木香)[2]
목향도기탕(木香導氣湯)
밀(蜜)[3]
백작약(白芍藥)
백중산(百中散)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신효월도산(神效越桃散)
앵속각(罌粟穀)[1]
우간(牛肝)[1]
육신환(六神丸)
이간단하탕(易簡斷下湯)
향련환(香連丸)
장벽(腸澼)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1) 이질(痢疾)의 옛말. (2) 변혈(便血).
질병처방 부어회(鮒魚膾)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2]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향각환(香殼丸)[1]
황금(黃芩)[3]
장활(腸滑)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백리(白痢). 만성 하리(下痢). 습열(濕熱)이 기분(氣分)을 손상해 일어나고, 한습응체(寒濕凝滯)나 비양(脾陽)의 손상으로도 생김. 복통과 이급후중(裏急後重)이 있고, 흰 곱똥을 눔.
참고 선명론이문(宣明論痢門)
질병처방 적석지산(赤石脂散)[1]
치(雉)
적리(赤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혈리(血痢). 피곱똥을 누거나 순전히 피만 누는 이질. 열독(熱毒)이 대장에 몰려 혈락을 손상시켜 일어나고, 또 비경(脾經)의 습(濕)으로도 생김. 열이 나면서 심한 복통이 있고, 뒤가 무직하고, 대변량은 적음. 오래되면 중기(中氣)가 허한(虛寒)해져 대변의 피가 어두운 잿빛이 되고, 얼굴이 누렇게 뜨고 윤기가 없음.
질병처방 고장환(固腸丸)[2]
구채(韭菜)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지유산(地楡散)[3]
적백리(赤白痢)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주하적백(注下赤白). 설주적백(泄注赤白). 피곱똥을 함께 누는 이질. 위장에 습열(濕熱)이 몰려서 기분(氣分)과 혈분(血分)이 상하여 생김. 또는 냉열(冷熱)이 부조(不調)하거나, 상랭(傷冷)으로 생긴 수사(水瀉)가 변하여 생기기도 함. 점액과 농혈, 즉 적백색의 협잡물이 나오며 복만창통(腹滿脹痛), 이급(裏急), 구갈인음(口渴引飮),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이 따름.
질병처방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가자피(訶子皮)[3]
가자피산(訶子皮散)
감응원(感應元)
강묵환(薑墨丸)
계자(鷄子)[3]
고장탕(固腸湯)
근화(槿花)
난발(亂髮)
노봉방(露蜂房)[1]
마치현(馬齒莧)[2]
부어회(鮒魚膾)
산석류각(酸石榴殼)
소주차원(小駐車元)
수련환(茱連丸)[1]
애엽(艾葉)[3]
영위산(寧胃散)
와(蛙)[3]
우각새(牛角鰓)[2]
입효산(立效散)[4]
저근백피(樗根白皮)[2]
적소두(赤小豆)[2]
제채(薺菜)
지유(地楡)[3]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총백(蔥白)[6]
해백(薤白)[1]
호황토(好黃土)
화중음(和中飮)
황금(黃芩)[3]
황련(黃連)[5]
황련아교원(黃連阿膠元)
황자계(黃雌鷄)[3]
추리(秋痢)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가을에 생기는 이질. 여름에 외감(外感)한 서습사(暑濕邪)가 비위(脾胃)와 장에 잠복했다가 가을의 조기(燥氣)와 뭉쳐 일어남. 대변이 황갈색이고 냄새가 나며, 항문이 화끈거리고, 심번(心煩)이 있고, 구갈(口渴)이 나고, 소변이 황적색이며 임력(淋瀝)함. 노인에서는 트림과 구역이 함께 남.
질병처방 건시(乾枾)[4]
하리(下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대변이 묽은 것. 고대에서는 이질(痢疾)과 설사를 통틀어 말했음.
질병처방 구간(狗肝)
학후이질(瘧後痢疾)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학질이 멎은 뒤에 생긴 이질. 학질을 않고 원기가 하함(下陷)해 비양(脾陽)이 올라가지 못해 병사(病邪)가 겉에서 속으로 들어가 이질이 생김.
질병처방 황련목향탕(黃連木香湯)
한리(寒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냉리(冷痢). 한(寒)에 속하는 이질(痢疾). 생냉물 과식으로 한기가 속에서 응체하고 비(脾)양이 손상되어 생김. 검붉은 피를 내리거나, 콧물 같은 흰 곱똥이나 오리똥 같은 흰 똥을 눔. 또한 배에서 꾸르륵거리는 소리가 나고 아픈데 하추감은 그다지 심하지 않음.
질병처방 적석지산(赤石脂散)[1]
황련보장탕(黃連補腸湯)
허리(虛痢)
계통 대변(大便)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허에 속한 이질. 오랜 이질로 혈허(血虛)나 기허(氣虛)가 되어 발생함. 또는 성교가 과도하여 정혈(精血)이 손상되어도 생김. 피곱이 섞인 변을 보고, 몸이 노곤하고, 음식이 소화가 안되고, 배가 약간 아프거나 때로 심하게 아픔. 혈허로 생기면 변이 담홍색이고, 통증이나 하추감이 줄지 않으며, 힘을 많이 주어도 변이 안 나옴. 기허로 생기면 콧물같은 흰 곱똥이 나옴. 심하게 허하여 궐역(厥逆)하고 맥이 미약(微弱)하기도 함.
질병처방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1]
가자피산(訶子皮散)
대단하환(大斷下丸)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혈리(血痢)
계통 혈(血)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적리(赤痢). 대변에 피가 섞이거나 순전히 피만 나오는 이질. 열독(熱毒)이 혈락(血絡)을 상해 대장(大腸)에 몰려 발생함. 열이 나고, 심한 복통과 이급후중(裏急後重)이 있고, 변은 적으며 선홍색 피가 나오고, 맥이 성(盛)함. 오래되면 중기(中氣)가 허약해져 암회색의 변혈(便血)이 있고, 얼굴이 누렇고, 맥이 약(弱)함.
참고 제병원후론이병(諸病源候論痢病)
질병처방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고장환(固腸丸)[2]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목향산(木香散)[3]
오매(烏梅)[6]
지유산(地楡散)[3]
측백탕(側柏湯)
휴식리(休息痢)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나았다 도졌다 하며 오랫동안 낫지 않는 이질. 이질 초기에 치료를 잘못하여 장 속에 습열(濕熱)이 충임(衝任)의 사이에 머물러 오래되면 기혈이 더욱 하함(下陷)해 청양(淸陽)이 상승하지 못하여 생김. 또는 조섭을 잘하지 않았거나, 색욕을 경계하지 않아서 일어남. 기운이 없고, 몸이 노곤하며, 입맛이 없고, 여위며, 손발이 늘 차가움.
참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질병처방 가려륵환(訶黎勒丸)[1]
가미양장탕(加味養臟湯)
계자(鷄子)[9]
삼근음(三根飮)
신효환(神效丸)
오매(烏梅)[6]
축사(縮砂)[3]
황웅구두골(黃雄狗頭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