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結核) / 호흡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결핵(結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귀주(鬼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노채(勞瘵)"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시주(尸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십종시주(十種尸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야간조열(夜間潮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로(熱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허로(虛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결핵균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만성전염병이다. 최초의 감염에서는 폐 안에 원발소(原發巢)와 폐문 림프절 팽창이 생겨 폐에 작은 결절이 생긴 다음(1차 결핵증), 대개 이 상태에서 자연 치유되나 더욱 악화되면 전신의 각 장기에 확산되어 오랜 치유를 필요로 한다(2차 결핵증). 심하면 고름이나 피를 토하기도 한다. 결핵균의 저항력과 번식력이 강하여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균이 내장, 뼈, 후두 등의 기관을 침범하여 목숨을 잃는 경우도 생긴다.
귀주(鬼疰)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시주(尸注). 노채(勞瘵). 귀주(鬼注). 인체의 기혈 부족으로 잘 걸리는데, 귀사(鬼邪)의 기(氣)가 주입되었다고 생각함. 오한 발열이 나고, 정신이 착잡하고, 말이 없고, 뚜렷이 아픈 곳을 모르고, 점차 쇠약해져 죽음. 죽은 뒤에도 가족에게 옮아 멸문(滅門)의 지경에 이름.
질병처방 달간(獺肝)[2]
사향(麝香)[4]
안식향(安息香)[2]
야저황(野猪黃)
팔독적산(八毒赤散)
패천공(敗天公)
노채(勞瘵)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폐로(肺勞). 노극(勞極). 전시로(傳尸勞). 시주(尸注). 전주(轉注). 귀주(鬼注). 전염성 소모성 질환. 인체의 기혈이 부족한 데에 노채충(勞瘵蟲)의 전염으로 일어남. 기침, 혈담(血痰), 조열(潮熱), 도한(盜汗), 자한(自汗), 음식감소, 흉통(胸痛), 이수(羸瘦), 객혈(喀血) 등의 증상이 있음. 그밖에 경과중에 천촉(喘促), 유정(遺精), 설사, 수족심열(手足心熱) 등이 나타남. (2) 허손(虛損)의 중증.
참고 제생방(濟生方)
질병처방 경옥고(瓊玉膏)[2]
금선와(金線蛙)[1]
남청즙(藍靑汁)
단삼음자(團蔘飮子)
달간(獺肝)[1]
달조(獺爪)
동자뇨(童子尿)[3]
묘간(猫肝)
백납진(白鉛塵)
삼향산(參香散)
신궁도수환(神芎導水丸)
신수산(神授散)[2]
여의단(如意丹)
연심산(蓮心散)[2]
오지산(五枝散)
응신음자(凝神飮子)
자금정자(紫金錠子)
자하거환(紫河車丸)
천령개산(天靈蓋散)
청골산(淸骨散)
탁목조(啄木鳥)[1]
태을명월단(太乙明月丹)
시주(尸注)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오시(五尸)의 하나. 노채(勞瘵)를 말함.
질병처방 관골(顴骨)
금선와(金線蛙)[1]
만병원(萬病元)
소합향원(蘇合香元)[2]
웅황(雄黃)[4]
이육(狸肉)[2]
이자건살귀원(李子建殺鬼元)[2]
인동초(忍冬草)[3]
청호자(靑蒿子)
십종시주(十種尸疰)
계통 사수(邪祟)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십주(十疰). 10가지 노채(勞瘵)를 통틀어 한 말. 원인에 따라 기주(氣疰), 노주(勞疰), 귀주(鬼疰), 냉주(冷疰), 식주(食疰), 시주(尸疰), 수주(水疰), 토주(土疰), 생인주(生人疰), 사인주(死人疰)로 나눔. 모두 귀사(鬼邪)의 기가 인체에 몰려 발생한다고 여겼음. 경과중에 한열왕래(寒熱往來), 기침, 조열(潮熱), 도한(盜汗), 심통(心痛), 수척, 소변임력(小便淋瀝) 등이 나타나며 전신에 성한 곳이 없고 괴로움. 오래되면 사망함.
질병처방 도인(桃仁)[4]
십주환(十疰丸)
야간조열(夜間潮熱)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음허조열(陰虛潮熱). 밤에 일어나는 조열. 오랜 병이나 각종 만성질병으로 체내의 진액이나 혈이 부족하여 음(陰)이 양(陽)을 다스리지 못하여 생김. 또 속에 숙식(宿食)이 있으면 저녁 무렵에 조열이 있음. 해질 무렵이나 밤에 미열이 있다가 새벽에 완전히 내림. 수족심열(手足心熱), 도한(盜汗), 심번(心煩), 불면이 따름.
질병처방 사물이련탕(四物二連湯)
열로(熱勞)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열로 인한 부인 허로(虛勞). 부녀자에서 혈이 부족한 데 열이 심폐(心肺)에 옹체(壅滯)해 기혈을 손상해 발생함. 발열, 심신번란(心神煩亂), 양관조홍, 두통, 구설생창(口舌生瘡), 순조(脣燥), 안삽(眼澁), 정신피로, 수족장열(手足壯熱), 체통(體痛), 도한(盜汗), 한열왕래(寒熱往來) 등이 있으며 입맛이 없고 몸이 점점 야윔.
질병처방 별갑(鱉甲)[4]
허로(虛勞)
계통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노겁(勞怯). 허손노상(虛損勞傷)의 약칭. 정기와 기혈이 허손된 병증. 선천적 기혈부족, 외상(外傷), 주색·칠정내상, 음식, 노권, 기욕무절(嗜欲無節)로 생김. 술은 폐를 손상시켜 습열(濕熱)이 훈증되어 폐음(肺陰)이 뜨거워짐. 색(色)은 신(腎)을 손상시켜 정실(精室)이 비어 상화(相火)가 제어되지 않음. 사려는 심(心)을 손상시켜 혈이 모손(耗損)되어 쉽게 상염(上炎)함. 노권(勞倦)은 비(脾)를 손상시켜 열이 생겨 진음(眞陰)을 없앰. 분노는 간을 손상시켜 노울(怒鬱)하면 간화(肝火)가 치성하여 작혈(灼血)하므로 크게 노하면 간화가 상승하여 토혈(吐血)함. 입맛이 없고, 우울하고, 유정(遺精)과 몽설(夢泄)이 있고, 허리·등·옆구리와 근육·뼈가 아프고, 조열(潮熱)이 나고, 자한(自汗)과 도한(盜汗)이 있고, 기침하며 가래가 나옴.
질병처방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당귀(當歸)[4]
대건중탕(大建中湯)
모려(牡蠣)[6]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반룡단(斑龍丹)
백봉고(白鳳膏)
별갑(鱉甲)[4]
보수고(補髓膏)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보정고(補精膏)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보화탕(保和湯)
삼합탕(三合湯)[2]
서련환(瑞蓮丸)[2]
선령비(仙靈脾)[2]
소건중탕(小建中湯)[2]
소화환(消化丸)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십회산(十灰散)[2]
연실(蓮實)[3]
오보원(五補元)
오출환(烏朮丸)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위생탕(衛生湯)[3]
윤폐고(潤肺膏)[1]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인포의(人胞衣)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자혈탕(滋血湯)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천지전(天地煎)
태평환(太平丸)
토사자(菟絲子)[5]
하수오(何首烏)[8]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