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창(疥瘡) / 피부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개창(疥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개선(疥癬)"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개선생창(疥癬生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습개(濕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독창개(熱毒瘡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창개(瘡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옴벌레의 기생으로 생기는 전염성 피부병이다. 흔히 옴이라고 한다. 개선(疥癬)ㆍ충개(蟲疥)라고도 한다. 옴벌레는 사람의 피부를 뚫고 알을 낳아 번식하며 번식력이 강해 치료하기가 쉽지 않다. 손가락 사이나 발가락 사이, 팔목 안쪽, 겨드랑이, 자개미, 아랫배, 음부, 엉덩이 등 살이 약한 곳에 좁쌀 같은 구진과 잔물집이 생겨 짓무르는데 몹시 가렵다. 그러므로 항상 긁은 자리에 딱지가 앉은 것을 볼 수 있다. 심하면 전신에 퍼져 부스럼으로 변하게 되며 끝이 노랗게 곪아 터져서 진물이 흐르는 아주 고약스러운 질병이다.
개선(疥癬)
계통 피부(皮)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개창(疥瘡). 일반적으로 옴을 말함. 개선충(疥癬蟲)의 접촉 감염으로 생김. 손발가락 사이, 겨드랑이 밑, 아랫배, 사타구니 등에도 생기고 전신에 퍼짐. 심한 가려움으로 긁으면 진물이 나고 때로는 국소가 패임.
질병처방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납저지(臘猪脂)[1]
당귀음자(當歸飮子)
마두고(麻豆膏)[1]
마두고(麻豆膏)[2]
무이산(蕪荑散)[2]
부평산(浮萍散)[2]
비전일찰광(秘傳一擦光)
사상자(蛇床子)[2]
삼황산(三黃散)[2]
수은재(水銀滓)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신이고(神異膏)[2]
양제근(羊蹄根)[2]
여로(藜蘆)[2]
여성산(如聖散)[3]
연분산(連粉散)
오수유산(吳茱萸散)
유황(硫黃)[6]
유황병(硫黃餠)
일상산(一上散)
일소산(一掃散)
전초산(剪草散)
지마(脂麻)[2]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1]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2]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3]
하수오산(何首烏散)
호분산(胡粉散)
개선생창(疥癬生瘡)
계통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개선 때 심한 가려움으로 긁은 자리에 부스럼이 생긴 것.
질병처방 웅황(雄黃)[6]
습개(濕疥)
계통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개창(疥瘡)의 하나. 습열(濕熱)이 피부에 몰리거나 개선충(疥癬蟲)에 감염되어 생김. 심한 가려움과 물집이 생기고, 피부가 얇아져 늘 진물이 나는 게 특징임.
질병처방 유조입효산(油調立效散)
열독창개(熱毒瘡疥)
계통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열독으로 생긴 개창(疥瘡). 아이에게 이유식을 너무 일찍 먹이거나, 달고 맛있는 음식을 편식하거나, 유모가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여 생긴 열독이 심(心)·간(肝)·비(脾)·위(胃)의 경락에 머물러 일어남. 몸의 여러 곳에 종기가 생겨 가렵고, 잘 낫지 않음. 또 때로 나았다가 다시 도짐.
질병처방 자초고(紫草膏)[1]
치열독창일방(治熱毒瘡一方)
창개(瘡疥)
계통 피부(皮)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개창(疥瘡). 옴. 개선독(疥癬毒)이 피부에 침입해 생기고, 경과중에 습열독(濕熱毒)이 겹칠 수 있음. 손가락 사이, 겨드랑이, 자개미, 아랫배, 등살 등 살이 연약한 부분에 구진과 작은 수포가 생기고 몹시 가려움. 긁은 자리에 딱지가 앉고, 또 감염을 받아 곪을 수 있고, 임파절이 부을 수 있음.
질병처방 발합(鵓鴿)[2]
인진(茵蔯)[1]
적소두탕(赤小豆湯)
전라(田螺)[6]
호마산(胡麻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