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질(疳疾) / 소아(小兒)

 익생양술에서 "[소아질환]성장발육촉진(成長發育促進)"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감질(疳疾)"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사람이 성장하는 시기는 태아로부터 시작하여 영아기(생후 2주~1세), 유아기(2~5세), 아동기(6~12세)를 거쳐 소년기(13~18세)까지 지속된다.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는 신생아부터 1세까지이며, 1세 이후부터는 성장 속도가 느려진다. 각 개인의 성장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특성과 생활 습관의 복잡한 상호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물론 고열량·고영양가의 음식 및 약제가 필요하며, 특히 유아기에는 성장 촉진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감질(疳疾)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감증(疳證). 감병(疳病). 소아가 여러가지 만성질환으로 몸이 여위고 진액이 고갈하는 증. 소아의 기혈이 부족한 데에 젖이나 음식 부절로 비위(脾胃)가 손상 받아서 생김. 또 아이의 젖이 모자라 너무 일찍 밥을 먹여 그 형기를 모상(耗傷)하거나, 토사나 중병 후 역독(疫毒), 기생충, 육음(六淫) 등으로 생김. 5세 미만의 아이에서 나타남. 얼굴이 누렇고 여위며 윤기가 없고, 헛배가 부르고, 배에 정맥노장이 있고, 불안해서 잘 욺. 영양불량, 만성 소화불량에서 나타나며, 오래되면 발육이 장애되고, 정기가 약해져 잡병이 겹침. 증상에 따라 감열(疳熱), 감사(疳瀉), 감갈(疳渴), 감리(疳痢), 감종창(疳腫脹) 등이 있으로 분류함. 부위에 따라 뇌감(腦疳), 안감(眼疳), 구감(口疳), 아감(牙疳), 척감(脊疳), 비감(鼻疳) 등으로 분류함. 또 오장 및 병인, 병리에 따라 간감(肝疳), 심감(心疳), 비감(脾疳), 폐감(肺疳), 신감(腎疳), 감로, 회감(蛔疳) 등으로 분류함.
참고 전씨소아약증직결(錢氏小兒藥證直訣)
질병처방 비아환(肥兒丸)
십미노회환(十味蘆薈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