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상한(傷寒)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상한의 사기(邪氣)가 소음경(少陰經)으로 옮겨간 것. 심(心)·신(腎)이 손상되고 음양기혈이 모두 허해서 생김. 수소음병(手少陰病)은 정신이 없고 잠만 자려고 하며 맥이 미세(微細)함. 족소음병(足少陰病)은 오한, 사지궐랭(四肢厥冷), 설사. 심하면 번민(煩悶), 불면 등이 있음. |
질병처방 | 도화탕(桃花湯) |
마황부자감초탕(麻黃附子甘草湯) | |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 |
반하산(半夏散) | |
백두옹탕(白頭翁湯) | |
백통탕(白通湯) | |
부자탕(附子湯)[2] | |
사역산(四逆散) | |
삼황숙애탕(三黃熟艾湯) | |
저부탕(猪膚湯) | |
적석지우여량탕(赤石脂禹餘粮湯) | |
진무탕(眞武湯) | |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 |
해백탕(薤白湯)[1] | |
황련계자탕(黃連鷄子湯) |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