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기(腫氣) / 피부과 계통

 익생양술에서 "종기(腫氣)"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감식창(疳蝕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두진(痘疹)"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두후옹절(痘後癰癤)"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배뢰(㾦癗)"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비옹(臂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양독발반(陽毒發斑)"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연절(軟癤)"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열독종(熱毒腫)"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오발옹저(五發癰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온독발반(溫毒發斑)"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저(癰疽)"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저작통(癰疽作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저허증(癰疽虛證)"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절(癰癤)"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창(癰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절풍(癤風)"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혈열생창(血熱生瘡)"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흑염정(黑靨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피부에 생기는 큰 부스럼이다. 종(腫)·종물(腫物)이라고도 한다. 털구멍이 포도상 구균에 감염되어 염증이 피부 깊은 곳까지 미친 경우이다. 먼저 털구멍 위로 좁쌀 같은 것이 솟아올랐다가 점차 화농(化膿)하여 빨갛게 부어오르고 열이 나면서 강한 통증이 오게 된다. 그 다음에는 종기가 터져 속에 있던 고름이 나오면 부기가 빠지고 통증도 없어지면서 자연히 낫지만, 흉터가 남을 수 있다.
감식창(疳蝕瘡)
계통 치아(齒牙)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1) 감식(疳蝕). 감질을 앓는 과정에 풍한사(風寒邪)의 침입으로 기혈이 몰리고 막혀 생김. 감질 증상과 함께 몸과 팔다리에 헌데가 생김. (2) 승장창(承漿瘡)과 같음. 기름진 국물이 소아의 여린 피부에 떨어져 불결해져 생기거나, 풍열(風熱)을 앓은 후에 생기기도 함. 입술 밑이 벌겋게 짓물고 잘 낫지 않음. (3) 하감(下疳).
질병처방 백질려(白蒺藜)
두진(痘疹)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두창(痘瘡), 수두(水痘) 때 피부에 돋는 구슬 진(疹). (2) 두창이나 마진(麻疹)이 포함된 발진성 질병.
질병처방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두후옹절(痘後癰癤)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두옹(痘癰). 두창의 여독이 멍울이나 옹종(癰腫)을 만든 것. 두창의 병독이 잘 풀리지 않고 장부 경락에 들어가 피부에 나오지 못하고 장부에도 들어가지 못하여 옹독(癰毒)이 되어 기육(肌肉)의 빈 곳 또는 지절(肢節)의 움직이는 곳에 들어가서 생김. 한두 군데에 멍울이 생기고 아픈 것은 독이 깊지 않은 것임. 심하면 두면(頭面)·흉협·수족의 마디가 한꺼번에 화끈거리고 딴딴하며 아프고 뿌리가 깊게 널리 퍼져 근육이 짓무르고 탈골(脫骨)이 되어 불구가 되거나 오래되면 죽기도 함.
질병처방 금화산(金華散)[2]
면견산(綿繭散)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소독탕(消毒湯)
염기산(斂肌散)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필승고(必勝膏)
배뢰(㾦癗)
계통 얼굴(面)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뾰루지. 땀이 난 뒤에 바람을 맞거나, 바깥의 선선한 곳에서 자서 풍사(風邪)가 피부로 침입해 생김. 피부가 심하게 가렵다가 콩쪽같은 흘답(疙瘩)이 생겨 마침내 헒.
참고 증치준승(證治準繩)
질병처방 토과근(土瓜根)[2]
비옹(臂癰)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팔(臂)에 생긴 옹(癰). 영위부조(營衛不調)한 데에 풍사(風邪)를 감수하여 기혈(氣血)이 응체해 생김. 초기에 좁쌀 크기로 붓고 아프며 딴딴해져 3,4일 지나면 곪아 터짐. 구갈, 대변비결이 따름. 손상이 깊어 근맥(筋脈)에 미치면 주먹을 쥐기도 힘들고 동통이 심함. 팔의 바깥쪽에 생기면 삼양경(三陽經)에 속하고, 안쪽에 생기면 삼음경(三陰經)에 속함.
참고 증치준승(證治準繩)
질병처방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양독발반(陽毒發斑)
계통 피부(皮)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혈열발반(血熱發斑). 열이 나면서 얼굴 등 노출 부위에 반점이 나타나는 증. 신열약(辛熱藥)으로 발한(發汗)을 잘못 시켰거나, 토하(吐下)를 잘못 시켜 열사(熱邪)가 내함(內陷)해 일어남. 관절종통, 두항통(頭項痛), 조민불안(躁悶不安), 광언(狂言), 인후종통, 하리황적(下利黃赤) 등이 따를 수 있음.
질병처방 삼황석고탕(三黃石膏湯)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연절(軟癤)
계통 소아(小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연농절(軟膿癤). 말랑말랑한 속에 피고름이 들어 있는 뾰루지. 서사(暑邪)가 삼양경(三陽經)에 잠복해 일어남. 여름과 가을에 얼굴, 머리, 엉덩이 등에 잘 생기고 주위로 퍼짐. 발적(發赤), 열감, 종창(腫脹), 통증이 있음. 또한 발열, 두통이 따름.
질병처방 대황고(大黃膏)
삼물산(三物散)
저두산(猪頭散)
지마(脂麻)[3]
열독종(熱毒腫)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1) 열독으로 생긴 종기. (2) 열증을 동반한 악성 종기.
질병처방 대황(大黃)[7]
만응고(萬應膏)[1]
상륙(商陸)[4]
오발옹저(五發癰疽)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오발(五發). 다섯 곳에 발생하는 옹저. 발뇌(發腦), 발빈(發鬢), 발미(發眉), 발이(發頤), 발배(發背) 등을 말함. 외감육음(外感六淫), 내상칠정(內傷七情), 식상(食傷), 외상(外傷) 등으로 열독(熱毒)이 몰려 생김. 옹저의 국소적 증상에 두통, 오심, 오한, 발열, 기천(氣喘), 경련 등이 따름.
질병처방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독승산(獨勝散)[2]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오향산(五香散)
태을고(太乙膏)
현령산(玄靈散)
온독발반(溫毒發斑)
계통 피부(皮)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온역발반(溫疫發斑). 온독으로 피부에 출혈반이 생기는 병증. 온열독이 폐위(肺胃)에 잠복하고 삼초(三焦)에 충만해 영혈(營血)에까지 들어가 피부로 나온 것임. 인통심번(咽痛心煩)이 있고, 심하면 광언민란(狂言悶亂)하기도 함. 반점의 색이 선명하며 작고 드물면 열독(熱毒)이 비교적 경하고, 암자색으로 크게 융합되어 헐면 열독이 중한 것이며, 흑자색이면 아주 중증임.
질병처방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2]
흑고(黑膏)
옹저(癰疽)
계통 제법(諸法)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癰)은 체표(體表)와 장부(臟腑)가 곪는 것임. 외옹(外癰)은 체표에 생기고 내옹(內癰)은 장부에 생기며 각기 폐옹(肺癰), 간옹(肝癰), 장옹(臟癰), 위완옹(胃脘癰), 신옹(腎癰)으로 나뉨. 저(疽)는 헌데가 깊고 잘 낫지 않는 것임. 부위에 따라 음저와 발저, 증상에 따라 유두저(有頭疽)와 무두저(無頭疽)로 나눔. 내인옹저(內因癰疽)는 칠정온결(七情蘊結), 조심과도(操心過度), 고량후미(膏梁厚味)로 장부가 훈증되거나 성교 등으로 원기(元氣)가 휴손되어 생김. 외인옹저(外因癰疽)는 육음(六淫)이 침습하거나, 여름에 밖에서 자거나 습지(濕地)에 앉거나 누워 풍한(風寒)이 경락(經絡)에 침습하여 생김. 내인옹저는 귀하게 자랐거나 비만한 사람에게 생기기 쉽고, 헌데가 딴딴하고 뿌리가 깊으며, 편평하고 고름이 없으며, 표실이허(表實裏虛)로 독이 나오기 어려움. 외인옹저는 대개 옴이 약하고 몸을 많이 쓰는 사람이 앓기 쉽고, 한열(寒熱)이 오가며, 근골(筋骨)이 쑤셔서 걷기가 힘들고, 습담(濕痰)이 유주(流注)하여 탄탄(癱瘓)이나 구안와사(口眼喎斜) 등이 나타남.
질병처방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감국(甘菊)[4]
거수고(去水膏)
거악산(去惡散)
격피취농법(隔皮取膿法)
괴화주(槐花酒)
구보환(狗寶丸)
국로고(國老膏)[1]
궁귀탁리산(芎歸托裏散)
나미고(糯米膏)[1]
납반환(蠟礬丸)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내탁산(內托散)[1]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노회고(爐灰膏)[3]
녹각산(鹿角散)[2]
대황(大黃)[7]
만응고(萬應膏)[1]
모침(茅鍼)
목향빈랑산(木香檳榔散)
묘승산(妙勝散)
백봉선화(白鳳仙花)
벽려(薜荔)
복룡간(伏龍肝)[3]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
사농환(射膿丸)
사향산(麝香散)[3]
사호산(四虎散)
삼신고(三神膏)
상회수(桑灰水)
생귀(生龜)[1]
생기산(生肌散)[2]
생기산(生肌散)[3]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성유탕(聖愈湯)
소식산(消蝕散)
수징고(水澄膏)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신이고(神異膏)[1]
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
십선산(十宣散)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염창산(斂瘡散)
염탕(鹽湯)[1]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영응고(靈應膏)[1]
영응고(靈應膏)[2]
오리대황탕(五利大黃湯)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오향탕(五香湯)
옹저창구심대방(癰疽瘡口深大方)
용천고(涌泉膏)
운모고(雲母膏)[2]
원지주(遠志酒)
위약(圍藥)
유분탁리산(乳粉托裏散)
이향산(二香散)[2]
인동등(忍冬藤)[3]
인동주(忍冬酒)
인동환(忍冬丸)
자금정(紫金錠)[2]
저제탕(猪蹄湯)
조각자(皂角刺)
지통당귀탕(止痛當歸湯)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천산갑산(穿山甲散)
철정란(鐵井爛)
체침환(替鍼丸)[1]
체침환(替鍼丸)[2]
침수고(沈水膏)
타농산(打膿散)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탁리산(托裏散)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1]
탕세방(湯洗方)
투농산(透膿散)
해독탕(解毒湯)[2]
호(葫)
홍옥산(紅玉散)[2]
황감산(黃甘散)
황기(黃芪)[5]
황기(黃芪)[6]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저궤후불렴. 옹저가 곪아서 터진 후에도 오래도록 아물지 않는 것. 열독(熱毒)이 뭉치거나, 기혈부족으로 영위(營衛)가 잘 돌지 않아 생김. 누관이 생겨 진물이 늘 조금씩 흐름. 구멍은 좁고 깊으며 때로 겉구멍이 아물었다 터졌다 함.
질병처방 건애탕(乾艾湯)
도화산(桃花散)
탁리화중탕(托裏和中湯)
황상엽(黃桑葉)
옹저작통(癰疽作痛)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저가 생기면서 아픈 것.
질병처방 이선산(二仙散)[3]
향령산(香靈散)
옹저허증(癰疽虛證)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저음증(癰疽陰證). 발병이 완만하고, 옹저의 모양이 편평하고, 통증이 없거나 둔하게 아프며, 피부색은 변화가 없거나 암자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열은 없거나 미열이 나며, 잘 삭지 않고 잘 아물지 않으며, 혹은 멍울이 생기기도 하는데 고름은 없고, 경과가 길며, 진물의 색이 멀겋고, 맥이 침세(沈細)하며 무력(無力)함. 권태감, 안색창백, 자한(自汗), 도한(盜汗), 음식부진 등이 따름.
참고 외과정종(外科正宗)
질병처방 탁리익기탕(托裏益氣湯)
옹절(癰癤)
계통 제법(諸法)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癰)과 절(癤). 옹은 몸의 표층과 장부가 곪는 것이고, 절은 모낭과 그에 부속된 피지선이 감염된 것임.
질병처방 신이고(神異膏)[3]
인구중타(人口中唾)
옹창(癰瘡)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창종통(癰瘡腫痛). 옹으로 헌데가 생긴 것.
질병처방 촉규화(蜀葵花)[2]
황촉규엽(黃蜀葵葉)
절풍(癤風)
계통 얼굴(面)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뽀루지가 연이어 생기거나 재발하는 것. 피부에 습열(濕熱)이 울체(鬱滯)된 데에 풍사(風邪)가 침습하여 생기거나, 소갈병(消渴病)이나 음허내열(陰虛內熱)로도 생김. 목 뒤 머리카락의 경계 부분, 잔등, 엉치 등에 잘 생김.
질병처방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혈열생창(血熱生瘡)
계통 부스럼(諸瘡)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혈분(血分)에 열이 있어 생긴 헌데.
질병처방 양혈음(凉血飮)[3]
흑염정(黑靨疔)
계통 얼굴(面)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신경(腎經)의 열독(熱毒)으로 일어남. 대개 귀구멍이나 잇몸, 흉복(胸腹), 요신(腰腎)의 패인 곳에 생김. 초기에 흑반자창(黑斑紫瘡)이 생겨 독이 피부를 꿰뚫고 기육(肌肉)으로 번져 못처럼 딴딴하고 통증이 골수에 사무침. 중하면 손발이 청자색이 되고, 경계(驚悸)가 있고, 정신이 침곤(沈困)함.
질병처방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