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역증(嘔逆症)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구역증(嘔逆症)"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구역(嘔逆)"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오심(惡心)"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옹저구역(癰疽嘔逆)"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창양구토(瘡瘍嘔吐)"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토할 듯 메슥메슥한 느낌을 욕지기 또는 구역이라 하는데, 속이 느글거려 구역이 나려는 증세를 구역증이라 한다. 구역, 오심, 메스꺼움 등이 생긴다. 오래 낫지 않는 구역질은 지구역(持嘔逆)이라 하며, 가슴 속이 불쾌하고 토할 듯한 기분이 들며, 특히 아침에 양치질을 할 때 심하게 나타난다.
구역(嘔逆)
계통 구토(嘔吐)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기(胃氣)가 올라와 계속 구토가 나는 것.
질병처방 모과(木瓜)[7]
오심(惡心)
계통 충(蟲)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매스꺼움. 토하고 싶어도 토해지지 않는 증상. 대개 구토의 조짐임. 담(痰)이 중완(中脘)에 응체(凝滯)하거나, 습열(濕熱)이 위(胃)를 막아서 생김.
질병처방 맥천탕(麥天湯)
반하건강산(半夏乾薑散)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생강반하탕(生薑半夏湯)
온위안충일방(溫胃安蟲一方)
치자죽여탕(梔子竹茹湯)
옹저구역(癰疽嘔逆)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옹저가 터지기 전 독기가 심(心)을 공격하여 구역질이 많이 나는 것. 양기(陽氣)가 크게 허한 데 한기(寒氣)가 속에서 넘쳐서 일어남. 복통토사, 수족궐랭(手足厥冷), 신지혼궤, 해수구역, 복명(腹鳴), 불식(不食) 등의 증상이 나타남.
질병처방 생강감길탕(生薑甘桔湯)
유향호심산(乳香護心散)
창양구토(瘡瘍嘔吐)
계통 옹저(癰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창양을 앓는 기간 중에 나타나는 구토. 심(心)·위(胃) 2경에 속함. 열독내공(熱毒內攻), 비위허한(脾胃虛寒), 기혈양허(氣血兩虛), 위완정담(胃脘停痰), 울결상비(鬱結傷脾) 등으로 생김. 심(心)에 있으면 심번(心煩), 신열(身熱), 공종작통(攻腫作痛), 구토 등이 있음. 비(脾)에 있으면 더러운 냄새만 맡아도 구역이 남. 또 창양이 곪을 때 화끈거리면서 아프면 위기(胃氣)가 허해서임. 기혈이 모두 허하면 구역이 나면서 허끝이 건조함.
질병처방 유향호심산(乳香護心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