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염(胃炎) / 소화기 계통

 익생양술에서 "위염(胃炎)"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고과독(苽果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과채적(果菜積)"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비위불화(脾胃不和)"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비위허한(脾胃虛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궐(食厥)"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체(食滯)"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식후혼곤(食後昏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어혈위완통(瘀血胃脘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랭(胃冷)"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열(胃熱)"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열심통(胃熱心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중냉통(胃中冷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한(胃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한건구(胃寒乾嘔)"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위허(胃虛)"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장독(臟毒)"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탄산(呑酸)"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위 점막의 염증성 질환의 총칭이다. 급성과 만성이 있다. 위카타르·장위카타라고도 한다.
·급성위염 : 폭음이나 폭식·과식 또는 부패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자극성 음식·음료를 함부로 먹거나 너무 찬 음식, 뜨거운 음식을 먹거나 약물 섭취, 병원균의 독소, 스트레스 등에 의해 생긴다. 위 부위에 팽만감이 있고 구토 증세가 일며 두통이나 오한이 따르기도 한다. 장 복통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식욕이 없어지고 혀에 백태가 끼고 건조하며 구취가 난다. 미열·현기증·권태감이 일어난다. 단순한 급성위염에서는 보통 발열은 없지만, 중독성일 때에는 38℃ 이상의 발열을 수반한다. 심한 경우에는 담즙이나 피를 토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위궤양으로 잘못 아는 일이 많다. 급성은 2~3일이면 대개 낫는다.
·만성위염 : 위 점막의 만성 염증성 질병으로서, 대개는 급성위염을 치료하지 않는 데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또한 운동 부족, 과음, 흡연, 자극성 음식물 섭취, 음식물에 대한 평소의 부주의, 무질서한 식사, 전염성 신진 대사의 질환, 약물 치료의 부작용, 유전적 요소 등에 의해서 생긴다. 식욕부진·소화불량·설사·변비·상복부 팽만감·구토·트림·구역질 등이 자주 일어난다. 과민성 만성위염은 나이가 젊은 30~40대 층에 많은데, 신트림이 나오면서 보통 식후 2~3시간 뒤에 가슴이 쓰리고 아프다. 이런 병증이 심해지거나 오래 앓는 경우에는 십이지장궤양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면서 음식은 잘 익혀서 먹도록 하며 특히 자극성 있는 조미료를 피한다.
고과독(苽果毒)
계통 해독(解毒)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참외, 오이 등을 과식해 중독된 것.
질병처방 해고과독일방(解苽果毒一方)[1]
과채적(果菜積)
계통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과일이나 채소를 과식하여 생긴 식적(食積). 설사가 심하고, 뱃속에서 덩어리가 만져짐.
질병처방 계향환(桂香丸)[1]
비위불화(脾胃不和)
계통 위(胃)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비와 위의 기능이 조화되지 않는 증. 음식부절로 위(胃)가 상하고 습(濕)이 비(脾)에 몰려 생김. 위완부가 창만하며 아프고, 적은 음식물도 소화되지 않고 체하며, 배가 거북하고, 때로 트림하거나 토하고, 대변이 무르고, 혀의 색이 엷으며, 설태가 얇고 흰색임. 허증도 실증도 아니고 그 중간임.
질병처방 계비원(啓脾元)
백출고(白朮膏)
평위산(平胃散)[1]
비위허한(脾胃虛寒)
계통 위(胃)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비양허(脾陽虛). 비위허랭(脾胃虛冷). 비의 양기가 부족한 증. 음식부절, 육체적 과로, 장기간의 병, 칠정내상으로 비기(脾氣)가 상해 생김. 전신이 노권하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며 배가 불러오면서 그득한 등 비기(脾氣)가 허한 증상과, 뱃속이 차고 아픈데 공복에 더욱 심하고 음식을 먹고 따뜻이 해주면 완해되며 손으로 만지면 덜하고 사지가 붓고 무거워 힘이 없고 음식을 적게 먹고 소변청장 및 변당(便溏)이 있고 맥은 침(沈)·세(細)한 등 허한증(虛寒證)이 있음
질병처방 백두구(白豆蔲)[2]
백설고(白雪糕)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수중금원(守中金元)
양비환(養脾丸)
익황산(益黃散)[1]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식궐(食厥)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식중(食中). 음식부절(飮食不節) 또는 식중독으로 일어나는 궐증(厥證). 과식 후 답답해하다가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져 말을 못하고, 손발이 싸늘해지고,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고, 설태는 후니(厚膩)하고, 맥은 활(滑)·삭(數)함. 음식을 토하면 바로 깨어남.
질병처방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식체(食滯)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식상(食傷). 음식으로 비위(脾胃)가 상한 병증. 실증(實證)과 허증(虛證)으로 나뉨. 실증은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그득하며, 오래되면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고, 배가 몹시 아프며, 오심과 구토는 없고, 심하면 음식 냄새도 싫고, 머리가 아프고, 설사하고, 설태는 희거나 누런 색임. 허증은 조금만 먹어도 곧 배가 그득해지고, 입맛이 없고, 노곤하며, 먹으면 바로 게우고, 명치 밑이 아프고, 설사함. 외감(外感)을 겸하면 발열, 오한, 기침, 두통 등 외감 증상을 동반함.
질병처방 칠향원(七香元)
식후혼곤(食後昏困)
계통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반곤(飯困). 반취(飯醉). 곡로(穀勞). 음식을 먹으면 노곤해지고 졸리는 병증. 비쇠위약(脾衰胃弱)으로 일어나거나, 습담(濕痰)이 비(脾)에 몰려 생김. 식사 중에도 졸며, 땀이 나고, 얼굴은 누르스름하며, 입맛이 없고, 배가 불러오며, 대변은 무름.
질병처방 삼출탕(蔘朮湯)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어혈위완통(瘀血胃脘痛)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어혈로 생긴 명치 밑의 통증. 찌르는 듯한 통증이 손으로 누르면 더 심해지며, 몸이 찰 때나 식후에도 심함. 간혹 토혈(吐血) 또는 변혈(便血)이 있고, 물을 마시면 딸꾹질을 하며, 심하면 혀가 암자색을 띰. 실증(實證)과 허증(虛證)으로 나눔.
질병처방 구즙(韭汁)[2]
위랭(胃冷)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한(胃寒). 위가 찬 증. 비위(脾胃)의 양기(陽氣)가 허하여 한사(寒邪)를 외감(外感)했거나, 날것이나 찬것을 많이 먹어 상했거나, 또는 상한(傷寒)에 한하(汗下)가 과다해서 생김. 명치 밑이 그득하면서 아프고 찬 감이 있으며, 따뜻하게 하면 경감됨. 멀건 물이나 차가운 침을 흘리고, 신물이 올라오는 것 같고, 찬것을 싫어하고 더운 음식을 찾으며, 손발이 차고, 대변은 묽거나 설사하고 냄새가 없으며, 설태는 희고 번들거림.
질병처방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2]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귤피반하생강탕(橘皮半夏生薑湯)
삼향산(三香散)
정향시체산(丁香枾蒂散)
위열(胃熱)
계통 화(火)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중열(胃中熱). 위에 열이 있는 병증. 위가 사열(邪熱)을 받거나 뜨거운 음식, 자극성 음식을 과식하여 생김. 위실열(胃實熱)과 위허열(胃虛熱)로 나눔. 허열 때는 구갈(口渴)과 구취가 나고, 굶기를 좋아하고, 조잡(?雜)하며, 때때로 위가 은은히 아프고, 간혹 토혈(吐血)과 육혈(衄血)이 있고, 가슴이 쓰리고, 대변이 굳고, 맥은 세삭(細數)함. 실열 때는 가슴이 지지듯 아프고, 입안이 헐고, 잇몸이 붓고 아프며 피가 나고, 맥은 활(滑)·삭(數)함.
질병처방 대마인(大麻仁)[2]
석고(石膏)[9]
우두(牛肚)[2]
우즙고(藕汁膏)
청위양비탕(淸胃養脾湯)
치자죽여탕(梔子竹茹湯)
황백(黃柏)[5]
위열심통(胃熱心痛)
계통 흉(胸)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위열로 일어난 심통. 위열(胃熱)을 볼 것.
질병처방 치자(梔子)[5]
위중냉통(胃中冷痛)
계통 하(下)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한(胃寒). 비위(脾胃)의 양기(陽氣)가 허하거나, 날것이나 찬것을 과식하여 위중에 냉기가 있어 생김. 위완부가 창만(脹滿)하고 아프며, 구토와 설사가 나고, 복부에 냉감이 있고, 누르거나 따뜻이 하면 덜함.
질병처방 파두(巴豆)[3]
위한(胃寒)
계통 위(胃)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위의 양기(陽氣)가 허한 증. 위가 허한데 한사(寒邪)를 외감(外感)하거나, 날것이나 찬것을 많이 먹었거나, 상한(傷寒)에 지나치게 땀을 냈거나 하약(下藥)을 먹어서 생김. 명치 아래가 그득하면서 아프고, 복부에 냉감이 있고, 덥게 하면 아픔이 덜하며 차면 더하고, 손발이 차고, 멀건 물을 토하고, 대변은 묽거나 설사하는데 냄새가 없고, 혀가 담반(淡礬)하고, 설태는 희면서 번들거리고, 맥은 침지(沈遲)함.
질병처방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정향(丁香)[2]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2]
위한건구(胃寒乾嘔)
계통 구토(嘔吐)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한사(寒邪)를 받거나 찬 기운이 위에 몰려 생긴 헛구역질. 헛구역 소리가 낮고, 약간의 거품침을 게우며, 입안은 마르지 않음. 실증(實證)이면 명치와 배가 싸늘하고 아픔. 허증(虛證)은 명치 밑이 그득하고, 음식 생각이 없고, 대변이 당설(溏泄)하고, 말이 느림.
질병처방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위허(胃虛)
계통 해수(咳嗽)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위기허약(胃氣虛弱). 위기능저하, 위음부족(胃陰不足)을 말함. 식욕부진, 소화불량, 흉완비민(胸脘痞悶), 트림, 순설담백(脣舌淡白) 등의 증상이 나타남.
질병처방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장독(臟毒)
계통 후음(後陰) / 외형편(外形篇)
원인과 증상 항문이 부어 딴딴하고 아프며 출혈하는 것. 내외음양으로 나뉨. 밖에 나온 것은 술과 후미(厚味), 심한 노동으로 습열(濕熱)이 항문 근처에 온결(蘊結)하여 오얏 만하게 부어오르며 대변비결(大便秘結)과 소변단적(小便短赤)이 따르고, 심하면 항문이 내려앉는 것 같으며 송곳으로 찌르는 듯이 아픈데, 양증(陽證)에 속함. 속에 생긴 것은 음허(陰虛)에 속하고, 원기 부족으로 습열이 항문으로 하주(下注)하여 내결옹종(內結癰腫)해 생기며, 송곳으로 찌르는 듯이 아프고 대변허폐(大便虛閉), 소변임력(小便淋瀝), 한열왕래 등이 따르며 밤이면 더 심해짐.
참고 외과정종(外科正宗), 의학입문(醫學入門), 혈증론(血證論)
질병처방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괴목상이(槐木上耳)
괴실(槐實)[4]
괴화(槐花)[2]
괴화산(槐花散)[2]
괴화산(槐花散)[3]
괴황탕(槐黃湯)
괴황환(槐黃丸)
궁귀환(芎歸丸)
기각산(枳殼散)[2]
사과산(絲瓜散)[2]
옥설환(玉屑丸)
장풍흑산(腸風黑散)
저근백피(樗根白皮)[3]
전홍원(剪紅元)
차전초(車前草)[4]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해독탕(解毒湯)[1]
탄산(呑酸)
계통 적취(積聚) / 잡병편(雜病篇)
원인과 증상 인산(咽酸). 신물이 목까지 올라왔다 내려가는 증. 습열(濕熱)이 간(肝)에 울적(鬱積)해 간화(肝火)가 역상(逆上)하여 폐(肺)와 위(胃) 사이에 잠복해 있다가 음식이 위에 들어오면 막아서 전입하지 못하게 하므로 속에 산(酸)이 만들어짐. 열에 치우치면 심번(心煩), 인건(咽乾), 구고(口苦)가 따르고 설태가 황색임. 중기(中氣)가 허한(虛寒)하면 가슴이 은근히 아프고, 멀건 침이 나오고, 설태가 담백함.
참고 삼인극일병증방론(三因極一病證方論)
질병처방 구미수련환(九味茱連丸)
국출환(麴朮丸)
명사(明絲)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사미수련환(四味茱連丸)
삼유환(蔘萸丸)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수련환(茱連丸)[2]
수련환(茱連丸)[3]
오수유(吳茱萸)[3]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창련탕(蒼連湯)
창련환(蒼連丸)
청담환(淸痰丸)
출령탕(朮苓湯)[2]
투격탕(透膈湯)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평위분소음(平胃分消飮)
평위산(平胃散)[1]
황련청화환(黃連淸化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