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쇠(精衰) / 정(精)

 익생양술에서 "허로(虛勞)"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동의보감에서 "정쇠(精衰)"의 질병으로 처방되어짐
익생원인과 증상
몸의 정기와 기혈이 허손해진 병증이다. 흔히 7정이 지나치거나 노권내상(勞倦內傷 : 내상 병증으로 늘 노곤해하는 증상)이나 음식 조절을 잘 못했거나 앓고 난 다음 몸조리를 잘 못하여 생긴다. 입맛이 없고 정신 상태가 우울하며 유정ㆍ몽설이 있고 허리와 잔등ㆍ옆구리ㆍ힘살ㆍ뼈 등 온몸이 아프며 조열(潮熱)ㆍ자한(自汗)ㆍ식은땀ㆍ기침ㆍ가래 등이 있다. 결핵ㆍ빈혈ㆍ신경쇠약을 비롯한 여러 가지 소모성 질병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정쇠(精衰)
계통 정(精) / 내경편(內景篇)
원인과 증상 (1) 정기(精氣)가 몹시 부족해진 것. (2) 유정(遺精), 몽정(夢精).
질병처방 올눌제(膃肭臍)[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