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원인과 증상
몸의 정기와 기혈이 허손해진 병증이다. 흔히 7정이 지나치거나 노권내상(勞倦內傷 : 내상 병증으로 늘 노곤해하는 증상)이나 음식 조절을 잘 못했거나 앓고 난 다음 몸조리를 잘 못하여 생긴다. 입맛이 없고 정신 상태가 우울하며 유정ㆍ몽설이 있고 허리와 잔등ㆍ옆구리ㆍ힘살ㆍ뼈 등 온몸이 아프며 조열(潮熱)ㆍ자한(自汗)ㆍ식은땀ㆍ기침ㆍ가래 등이 있다. 결핵ㆍ빈혈ㆍ신경쇠약을 비롯한 여러 가지 소모성 질병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계통 | 내상(內傷)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비만(痞滿)의 하나. 비위(脾胃)·심신(心腎)의 쇠약, 음양(陰陽)·기혈(氣血)의 손모(損耗)로 생긴 비증(痞證). 공복시 심복비민(心腹痞悶)이 특징임. 식욕이 없고, 중기(中氣)가 부족하여 대변이 당설(溏泄)하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데 가슴을 따뜻이 하면 덜하고, 추위를 타고, 악취가 나는 트림과 탄산(呑酸)이 나고, 심하면 복창(腹脹)이 나타남. |
참고 | 경악전서(景岳全書) |
질병처방 |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